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업무자료센터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반응형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pdf


사회복지프로포절 / 사회복지 사업계획서 작성시 활용가능한 사회복지 성촤측정 자료입니다.


조사연구 2009-01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연 구 기 관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연구센터 연 구 책 임 자 : 조 성 우 (초빙연구위원,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공 동 연 구 원 : 노 재 현 (초빙연구원,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 ※ 연구내용은 연구진의 의견으로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공식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머 리 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나눔문화 확산을 통해 보다 더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아동청소년, 장애인, 노인, 여성, 지역복지 등 2만여 건의 복지사업에 배분하 여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변화로 새로운 ‘행복공동체’를 만들어왔습니다. 최근에는 급속한 사회 변화로 인해 새로운 사회문제가 대두되는 등 복지에 대한 욕구는 물론 대상과 분야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단순한 자원 제공과 양적인 산출을 넘어 보다 근본적인 사회적 성과와 긍정적인 사회 변화를 만들었는가가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사회복지성과측정자료집'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원 신청하는 사회복지 현장의 일반 실무자들이 새로운 사회복지사업을 기획하고 제안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는 보다 더 효과적인 사회적 변화와 성과를 만들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사업을 기획할 때에는 사업의 목적과 목표를 먼저 설정하고, 이후 목적 과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지표를 설정하게 됩니다. 실제로 많은 실무자들이 목적과 목표를 성공적으로 설정하지만, 평가이론과 기법에 대한 이해 부족으 로 인해 타당도가 높은 평가기준과 지표를 개발․설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자료집에는 그 동안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용되어온 다양한 평가기준, 지표, 표준화된 척 도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실무자들이 성과평가의 기본 원리와 적합한 기준, 지표를 선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이번 초판에는 200개의 평가기준, 500개의 지표, 28개의 표준화된 척도가 제시되어 있지만, 광범위한 사회복지실천 영역을 포괄하기에는 양적으로나 내 용적인 면에서 매우 부족한 상태입니다. 향후 지속적인 개정작업을 통해 보완해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장 실무자들의 적극적인 활용과 건의를 부탁드립니다. 이 자료집에 수록된 표준화된 척도들의 저작권 사용과 관련해, 대다수의 저자들께서 흔쾌히 허락해 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여러 현실적인 사정으로 일부 저자에게는 미처 동의를 구하지 못한 점에 양해를 구합니다. 이 자료집이 공동모금회의 사업신청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사회복지 현장에서도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2009년 9월 16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 윤 병 철 목 차 i 목 차 SECTION 1 기본설명서 · 1 1장 사회복지 성과평가의 핵심개념 · 3 1. 목적 · 3 1.1 성과평가의 중요성 · 3 1.2 이 책의 목적 · 5 2. 성과평가의 핵심개념들 · 6 2.1 성과 · 6 2.2 평가 · 8 2.3 체계모델로 사회복지사업의 성과 바라보기 · 9 2.4 목적, 세부목표, 평가기준, 지표의 정렬 · 11 2.5 객관적 지표와 판단적 지표 · 13 2.6 타당도 개념 · 14 2장 이 책의 사용법 · 17 1. 단계별 절차 · 17 2. 사용법 예시 · 21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ii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 25 1장 성과평가 영역과 평가기준 · 27 1. 산출 및 성과(output & outcome) 영역의 평가기준들 · 28 2. 자원(resource) 영역의 평가기준들 · 45 3. 생산성(productivity) 영역의 평가기준들 · 47 4. 효율성(efficiency) 영역의 평가기준들 · 48 5. 비용효과성(cost-effectiveness) 영역의 평가기준들 · 49 6. 고객만족(client satisfaction) 영역의 평가기준들 · 50 7. 서비스 품질(service quality) 영역의 평가기준들 · 51 2장 지표 · 53 1. 객관적 지표 · 53 2. 판단적 지표 · 62 3장 척도 · 67 1. 가족 관계 척도 · 67 2. 가족스트레스 척도 · 70 목 차 iii 3. 결혼 불안정성 지수(marital instability index: MII) · 75 4. 경제적 스트레스 척도 · 78 5. 노인 우울증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 81 6. 부모와 교사지지 척도 · 85 7. 대인관계기술 척도 · 88 8. 대처기제 척도 · 90 9. 또래애착 척도 · 93 10.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 · 96 11. 사회적 지지 척도 · 100 12. 사회적 지지 척도 · 104 13. 삶의 만족 척도 · 108 14. 수용성 척도 · 112 15.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 115 16. 자기유능감 척도 · 119 17. 자기효능감 척도 · 122 18.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s: CPIC) · 125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iv 19. 자녀양육효능감 척도 · 129 20. 자아정체성 척도 · 133 21. 자아존중감 척도 · 136 22. 자아존중감 척도(index of self-esteem: ISE) · 139 23.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 · 142 24. 자원봉사만족도 척도 · 145 25.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다체계 사정도구 (multi-system assessment tools for school social work: MATS) · 148 26.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 · 156 27. 한국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 (korean version of the 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CSI-K) · 158 28.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KGHQ-20) · 161 참고문헌 · 165 표 목 차 v 표 목 차 <표 1> 일반적인 성과평가 영역들 · 27 그림목차 [그림 1] 평가의 배경 · 4 [그림 2] 사회복지사업의 구성 요소 · 7 [그림 3] 평가를 위한 사회복지사업의 구성 요소 · 9 [그림 4] 사업의 방향과 평가의 내용 · 11 [그림 5] 목적, 목표, 평가기준, 지표의 정렬 · 12 [그림 6] 평가기준과 지표의 타당도 수준 · 15 [그림 7] 내용타당도 검토 양식 · 20 SECTION 1 기본설명서 SECTION 1 기본설명서 3 1장 사회복지 성과평가의 핵심개념 1. 목적 1.1 성과평가의 중요성 오늘날 사회복지 실천현장을 주도하는 가장 강력한 실천 이데올로기 는 바로 ‘평가(evaluation)'다. 이렇게 사회복지사업에 그 어느 때보다 평가가 중요하게 부각된 이유를 요약하면 크게 다음의 두 가지다. ∙ 197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물결에 의해 세계적으로 복지국가 위기 론이 제기되면서, 사회복지 실천의 정당성이 의심받게 되었다. 그 결과, 국가와 사회는 사회복지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객관적 증거로 요구하게 되었고 그 증거에 따라 사회복지 자원을 배분하기 시작 한 것이다. ∙ 사회복지내부의 변화로서, 사회복지전문가 스스로 ‘평가’의 중요성 을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승인을 얻고자 실 천의 효과성을 객관적 증거로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사회복지의 정당성 혹은 신뢰성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 복지 전문가들의 공동의 노력은 바로 ‘과학적 실천(scientific practice)' 을 하는 것이다. 과학적 실천이란, 객관적이고 타당한 정보에 근거해 서 사회복지사업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엄명 용․조성우, 2005).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4 [그림 1] 평가의 배경 과학적 실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객관성(objectivity)과 타당성 (validity)을 갖춘 증거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에서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을 하는 것이다. 이를 다른 표현으로 ’증거기반의 실천 (evidence-based practice, EBP)‘이라고도 한다. ∙ 객관성(objectivity) : 개인의 주관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다 수에 의해 보편타당하게 받아들여지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 로 양적 자료를 통해 확보된다. ∙ 타당성(validity) : 평가 자료가 사회복지 프로그램 목표의 내용적 측면(content)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경우 높은 타당성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 증거기반의 실천(EBP) : 객관적이고 타당한 증거를 사용하여 사회 복지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증명하는 실천을 의미한다. SECTION 1 기본설명서 5 1.2 이 책의 목적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 역시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실 행되고 있는 사업으로서, 공동모금회로부터 사회복지사업에 필요한 지 원을 받고자 하는 모든 사회복지기관은 객관적이고 타당한 정보에 근 거하여 사업성과를 예측(forecast), 평가(evaluation), 보고(report)해서 과학적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 이 책은 과학적 실천을 추구하며 공동모금회 배분사업에 지원을 신청 하려는 사회복지 전문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이 책에서 는 사회복지사업의 성과평가를 기획․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실천적 지침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로 다음의 정보들이 포함된다. ∙ 성과평가의 주요개념들 ∙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성과평가 기준들 ∙ 성과평가 기준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성과평가 지표들 ∙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심리척도들 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회복지 전문가들이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정보와 자료들을 활용한다면, 사업 기획 서 작성 및 평가역량 개발에 큰 도움을 얻게 될 것이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6 2. 성과평가의 핵심 개념들 2.1 성과 성과는 다양하게 정의된다. 성과와 관련된 영어표현으로는 outcome, output, result, performance 등이 있으며 성과, 산출, 결과 등으로 다 양하게 표현된다. 사실 성과를 정의할 때 가장 큰 논쟁은 성과를 결과 의 개념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과정의 개념으로 볼 것인가이다. 이에 관해서 학계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논쟁 중에 있다. 가장 일반적인 성 과 개념은 과정(process)보다는 사업 종결 후의 결과(result)의 개념으 로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행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에서 상담 후, 청소년이 비행 행동을 멈추게 되었다면 이를 성과로 간주하는 것이다. 그에 비해 과정 개념으로 성과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바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제공되는 절차와 사회복지 전문가 의 활동이다. 즉, ‘개입(intervention)' 자체이다.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에서 과정을 성과로 간주한다면, '상담자가 얼마나 클라이언트의 감정 에 적절히 반응했는가?' 혹은 '상담 서비스가 내용적으로 충실했는가?' 등이 성과로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성과를 충실하고 온전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결과와 과정 모두 평가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실무현장에서는 평가목적 에 따라 ‘결과’만을 평가하거나, ‘과정’만을 평가하기도 한다. 2009년도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배분사업에서 정의하는 '성과'는 사회복지사업의 실행 후 나타나는 산출(outputs)과 성과(outcomes)로 정의된다. 여기에 는 과정평가의 개념은 포함되지 않는다1). 1) 과정평가는 차후 도입될 예정이다. SECTION 1 기본설명서 7 [그림 2] 사회복지사업의 구성 요소 결과중심의 평가는 그림2에서 보면, 산출(outputs) 혹은 성과 (outcomes)에 초점을 둔 평가를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성과 (outcomes)의 내용에 집중하는 것이 이러한 평가개념에 더욱 근접하 다. ∙ 성과 : 사회복지사업 종결 후, 나타나는 산출(outputs)과 성과(outcomes)를 의미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8 2.2 평가 평가 역시 다양하게 정의되고 활용된다. 평가에 대한 일반적이고 간단 한 사전적 정의는 ‘어떤 대상에 관한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 정의를 사회복지사업에 적용해 본다면, 사회복지에서 평가란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가치판단을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렇 다면 구체적으로 무엇에 관한 가치판단이며, 이러한 가치판단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사업의 타당성과 적절성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치판단을 하는 이유는 한마디로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을 하기 위해서이다. 의사결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 사업은 성공했는가? 아니면 실패했는가? ∙ 이 사업은 지역사회와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되었는가? 아니면 도움이 되지 못했는가? ∙ 앞으로 이 사업을 지속할 것인가? 아니면 종결할 것인가? 2009년도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에서 정의하는 성과평가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성과평가 : 사회복지사업 종결 후, 수행하는 산출 및 성과에 대한 가치판단 SECTION 1 기본설명서 9 2.3 체계모델로 사회복지사업의 성과 바라보기 성과평가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체계를 [투 입]-[과정]-[산출] 구조로 설명하는 일반체계모형(general system model)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사업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사업 은 그림3과 같이 ‘투입’, ‘과정’, ‘산출’, ‘성과’로 구성된다. ∙ 투입 : 사업에 활용되는 인적․물적․시간․정보 자원들 ∙ 과정 : 사업이 진행되는 모든 절차들 ∙ 산출 : 사업 종결 후, 나타나는 객관적 산출물 ∙ 성과 : 사업의 목적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클라이언트와 지 역사회의 바람직한 변화 [그림 3] 평가를 위한 사회복지사업의 구성 요소 (Martin & Kettner, 1996에서 수정)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0 이상의 4가지 체계요소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평가접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고, 다른 하나는 과정평가 (process evaluation)2)다. 총괄평가는 가장 일반적인 평가방식으로서 사업이 종결된 이후에 수행되며, 사업의 성공과 , 를 판결하기 위해 , 시된다. 과정평가는 사업의 진행과정 중에 ,시되며, 사업내용을 개선하 기 위해 실시된다. 총괄평가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 사업의 성공과 실패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 결과를 이해관계자(예:공동모금회)에게 보여주기 위해 실시한다. ∙ 사업 종결 후의 시점에서 실시한다. ∙ 사업의 효과성(effectiveness)과 효율성(efficiency)을 평가한다. ∙ 평가정보는 단기성과, 중기성과, 장기성과에 초점을 둔다. ∙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성은 객관성이 얼마나 높은 자료를 사용하는 가에 달려있다. 이에 비해 과정평가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 사업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실시된다. ∙ 내부 직원들이 활용한다. ∙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 중에 실시한다. ∙ 평가정보는 사업의 목적, 실행, 절차에 초점을 둔다. 2009년도 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에 신청하는 모든 사회복지사업에서 는 총괄평가 실시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2) 혹은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가 적용되기도 한다. SECTION 1 기본설명서 11 2.4 목적, 목표, 평가기준, 지표의 정렬 모든 사회복지사업은 나름대로 목적과 목표3)를 갖는다. 평가에서 사 회복지사업의 ‘방향’과 ‘평가내용’을 정렬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말하는 방향이 바로 목적(goal)과 목표(objective)로서 표현된다. 그리고 평가내용은 평가기준(criteria)과 지표(indicator)를 의미한다. 사 회복지사업은 1개 이상의 목적을 가지며, 그 목적 아래에 1개 이상의 목표를 가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각 목표는 달성여부가 명확히 확인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목표는 명료하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그림 4] 사업의 방향과 평가의 내용 ∙ 목적 : 사회복지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중장기적 성과 ∙ 목표 : 목적을 이루는 데 요구되는 단기적 성과로서 성취여부가 명 확히 확인될 수 있는 것 평가에서 중요한 작업은 ‘목표’-‘평가기준’-‘지표’를 명확하게 정렬 (alignment)하는 작업이다. 1개의 목표 아래에는 1개 이상의 평가기준 이 있고, 그 평가기준 밑에는 1개 이상의 지표가 있다. 여기서 평가기 준(criteria)이란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의사결정 하는 데 사용되는 잣대 3) 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에서는 목표를 ‘산출목표’와 ‘성과목표’로 구분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2 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인의 신체기능 향상’이 목표라면 ‘신체기 능’이 평가기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지표(indicator)는 평가기준을 구 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항목(item)이나 척도(scale)가 된다. ‘신체기능’ 이 평가기준이라면, ‘운동량’, ‘1일 운동시간’, ‘신체기능을 확인하는 체 크리스트 점수’ 등이 지표가 된다. ∙ 평가기준4) :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의사결정 하는데 사용되는 잣대 ∙ 지표 :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항목(item)이나 척도(scale) [그림 5] 목적, 목표, 평가기준, 지표의 정렬 4) 배분사업 신청서에는 별도의 평가기준을 작성하는 란이 없다. 그렇지만 평가기준을 먼저 선정한 뒤, 지표를 프로포절에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순서이다. SECTION 1 기본설명서 13 2.5 객관적 지표와 판단적 지표 평가기준(criteria)은 실제 객관적으로 측정되거나 관찰될 수 없다. 그 에 비해 지표란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한 마디로 기준을 경험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 만족(client satisfaction)'은 기준이 되고, (설문지를 사용한) '만족도 점수(score)'는 지표가 된다. ‘이용자 만족’은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고 개념으로만 존 재하는 용어이다. 우리는 지표를 사용해서 ‘만족도 점수’를 눈으로 확 인해서 간접적으로 기준을 ‘경험’하는 것이다. 지표는 객관적 지표와 판단적 지표로 구분된다. 객관적 지표는 누가 측정을 하든지 동일한 점수로 측정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 로, 대체로 측정의 신뢰도(a reliability of measurement)가 높다. 예를 들어, 이용자 수, 서비스 제공 횟수, 참가 기간 등의 셈(count) 자료로 객관적 기준이 측정된다. 이와 달리 판단적 지표라는 것은 사람의 판 단에 의존해서 측정되는 자료로서 보통 각종 설문도구에 의해 측정된 다. 대표적으로 만족도 점수를 들 수 있다. 판단적 지표를 통해 수집 된 자료는 측정의 오차가 객관적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 을 갖고 있다. ∙ 객관적 지표의 예 : 클라이언트 수, 서비스 제공 횟수, 참가기간 등 의 셈(count) 자료 ∙ 판단적 지표(주관적 지표)의 예 : 설문지나 심리검사 응답자료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4 2.6 타당도 개념 타당도를 이해하는 것은 모든 평가업무에서 가장 중요하고 결정적인 것이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평가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타 당도의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실제 평가를 수행할 때, 실무자들 이 갖는 거의 대부분의 고민들은 모두 타당도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 어, ‘어떤 설문지를 사용할까?’, ‘이 척도를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을 까?’ 등의 고민은 평가업무에서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얼마나 높이는가 를 통해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평가에서 타당도(validity)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내용적으로 서로 관 련된 정도’로 설명된다. 우리가 어떤 평가도구를 사용할 때 타당도의 관점에서 생각해야 하는 것은, 평가도구의 내용과 프로그램 목표가 얼 마나 내용적으로 일치하는가이다. 예를 들어,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 키는 목표를 갖고 있는 사업에서 평가기준과 지표는 ‘아동 사회성’과 밀접한 내용적 관련성을 맺고 있어야 한다. ∙ 타당도 : 내용적으로 서로 관련된 정도 ∙ 평가기준의 타당도 : 목표와 평가기준 간의 내용적 관련성 ∙ 지표의 타당도 : 평가기준과 지표 간의 내용적 관련성 결국 타당도를 분석한다는 것은 ‘내용(content)을 점검’하는 것이다. 사 회복지사업에서는 목표, 평가기준, 지표가 서로 내용적으로 관련이 높 을 때, 평가기준과 지표는 높은 타당도를 갖게 된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 그림6이다. SECTION 1 기본설명서 15 [그림 6] 평가기준과 지표의 타당도 수준 SECTION 1 기본설명서 17 2장 이 책의 사용법 1. 단계별 절차 이 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1장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해야 한다. 1장의 내용을 모두 이해했다는 가정에서 다음의 절차를 따르도록 한 다. 사업의 평가업무를 계획할 때 실무자들이 범하는 가장 전형적인 잘못 중 하나는 목적과 목표를 세우기 전에 평가기준과 지표를 미리 결정 해 버리는 것이다. 올바른 순서는 목적과 목표를 먼저 설정하고 그 다 음 평가기준과 지표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순서를 따르기를 권장한다. 1단계 목적과 목표 작성 사업의 목적과 목표(산출목표와 성과목표)를 문장으로 작성한다. 일반 적으로 목적은 다소 추상적일 수 있으나, 목표는 달성여부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하게 작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목표로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작성했다면 이것은 모호하다. 어떤 변화를 측정 하고자 할 경우에는 변화의 ‘방향’과 ‘정도’가 제시되면 좋다. 따라서 단순히 목표를 ‘자아존중감의 변화’로 표현하는 것보다는 ‘자아존중감 10점 이상 증가’로 표현하는 것이 더욱 명확한 정의가 된다. 그러나 너무 자세하고 까다롭게 정의할 경우, 같은 결과라도 좋은 성과로 인 정받기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아존중감 향상’정도로 표현 하는 것도 좋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8 2단계 목표별로 평가기준명 선정 목표와 내용적으로 높은 관련성을 맺고 있는 평가기준을 선정한다. 평 가기준을 선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실무자가 창의성 을 발휘해서 기준명을 떠올리고 그 내용을 정의하는 것이다. 물론 이 방법은 실무자가 갖고 있는 전문지식에 의존한다. 둘째, 이 책에 소개 되어 있는 평가기준명과 정의를 참조하는 것이다. 여기에 나열된 평가 기준들을 읽고 사업 목표와 내용적으로 가장 근접한 것을 찾아 자신 의 사업에 맞게 적절하게 수정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새로운 평가기준을 창의적으로 찾아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3단계 평가기준별로 지표 선정 다음으로 해야 할 과제는 지표를 선정하는 것이다. 방법은 개인의 창 의성을 활용하는 방법과 이 책에서 제시된 지표목록을 참조하는 것이 다. 지표는 평가기준 당 1~3개를 선정하면 된다. 4단계 평가기준과 지표의 내용타당도 분석 가장 중요한 절차는 바로 선정된 평가기준과 지표가 얼마나 적절한가 를 진단하는 것이다. 즉, 기준 및 지표의 타당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타당도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그것은 사람이 직 접 타당도를 검토하는 방법과 통계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토하는 것 이다.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해서 타당도를 분석하는 작업은 많은 노력 과 전문성이 요구되므로, 여기서는 사람이 직접 타당도를 판단하는 방 SECTION 1 기본설명서 19 법을 실시하기를 권장한다. 사람이 직접 타당도를 판단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내용타당도’ 분석방법이다. 이것은 전문가(expert)가 직접 기준이나 지표를 검토해 서 내용적 적절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말하는 전문가는 다음 과 같이 정의한다. ∙ 전문가 : 특정 분야의 박사학위자이거나, 혹은 석사학위 취득 후 해당분야에서 일한 경력이 5년 이상 되는 사람 내용타당도를 분석하는 방법은 ①내용타당도 양식(form)을 만들고 목 표, 평가기준, 지표를 기술한 후, ②전문가에게 제출해서 검토 받는 것 이다. ③전문가는 양식에 기재된 목표, 평가기준, 지표의 내용적 관련 성을 검토한 후, 타당하다면 서명하고, ④만약 타당하지 않다면 수정 보완을 요청하면 된다. 이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몇 명의 전문가에게 요청하는 것이 적절한가이다. 많은 인원수가 타당도를 검토할수록 평 가기준과 지표의 타당도는 증가한다. 현실적 기준을 제안하자면, 박사 학위를 갖고 있는 전문가의 경우에는 1~2명, 석사이상의 경력자의 경 우에는 3~5명 정도가 적절하다. 내용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한 <양식> 의 예는 다음 페이지의 그림 7에 제시되어 있다. 5단계 평가기준과 지표의 수정 및 완성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결과를 참고해서, 평가기준과 지표를 확정한다. 만약 전문가의 수정요청이 있을 경우, 수정해서 재검토를 의뢰한 후 서명을 받는다. 여기까지 작업을 수행하면 평가기준과 지표를 안심하 고 사용해도 될 것이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20 평가기준 및 지표의 내용타당도 검토 의뢰서 다음은 우리 기관의 ○○○사업에서 선정한 목표, 평가기준, 지표입니다. 아래의 평 가 기준과 지표가 목표의 내용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주시기 바랍 니다. 목표 평가기준 지표 내용적으로 얼마나 적절합니까? 1. 1.1 1.2 1.1.1 1.1.2 1.2.1 ①매우부적절 ②부적절 ③적절 ④매우 적절 ①매우부적절 ②부적절 ③적절 ④매우 적절 ①매우부적절 ②부적절 ③적절 ④매우 적절 2. 3. [전반적 소견] 위와 같이 내용타당도를 확인함 2009년 월 일 이름 : ○ ○ ○ (인) ○○○ 복지관 [그림 7] 내용타당도 검토 양식 SECTION 1 기본설명서 21 2. 사용법 예시 이제 하나의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목적 설정부터 지표 선정에 이르기까지 그 절차를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지역사회의 욕구와 환경적 특성, 그리고 경험적 근거 및 지 역사회 복지자원 등을 고려하여 각자의 기관에서 진행하고자 하 는, 그리고 진행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예를 들어, 지역 사회 내의 저소득층 가정에서 아동의 방임이 증가하고 있고 그 방임이 주로 야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라면, 이러한 상황적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여 ‘저소득층 방임아동의 보호 및 학습지원 을 위한 야간보호사업’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사업의 주요 대상은 저소득층 방임아동이지만,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아동의 부모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 모두를 서비스 대상으로 삼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업의 목적은 크 게 ‘1.저소득층 야간방임 아동의 안전 증대’, ‘2.저소득층 야간방 임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 지원’, 그리고 ‘3.저소득층 야간방임 아 동 가정의 가족관계 강화를 통한 가족유대감 증대’ 정도로 제시 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제시했다면, 이제는 목적을 달성 하는데 요구되는 단기적인 성과들인 목표를 기술해야 하며, 이 목표는 성취여부가 명확히 확인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저 소득층 야간방임 아동의 안전 증대’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는 야간 돌봄 서비스를 강화하여 아동의 신체적 안전을 도모해 야 한다. 따라서 ‘저소득층 야간 방임아동 20명 안전보호’라는 구 체적인 산출목표와 ‘보호 아동의 야간 안전사고 감소’라는 성과 목표를 세울 수 있다. 이와 동일한 형식으로 ‘2.저소득층 야간방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22 임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 지원’이라는 목적에는 ‘방임아동 20명 에 대한 석식ㆍ간식 제공 및 건강 체조프로그램 시행’ 및 ‘주 5 회 숙제지도 및 주 2회 기초학습지도’라는 구체적인 산출목표와 ‘기초학습능력 향상’이라는 성과목표를 세운다. 마지막으로 ‘3.저 소득층 야간방임 아동 가정의 가족관계 강화를 통한 가족유대감 증대’라는 목적에는 ‘월 1회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 시행’ 및 ‘월 1회 보호자/자녀 상담을 통한 심리적 유대감 형성’이라는 산출목표와 ‘보호아동의 가족 유대감 증대’라는 성과목표를 세운 다. 목적과 목표를 제시한 이후에는 목표와 내용적으로 높은 관련성 을 맺고 있는 평가기준을 선정해야 한다. 첫 번째 목적에서 나온 ‘보호 아동의 야간 안전사고 감소’와 내용적 관련이 높은 평가기 준은 본 자료집에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실무자가 창의성을 발휘하여 기준명을 떠올려야 한다. 본 예시에서는 평가기준을 ‘야간 안전사고’ 정도로 선정하고자 한다. 이와 달리 두 번째 목 적에서 나온 ‘기초학습능력 향상’은 내용적 관련이 높은 평가기 준이 본 자료집의 43페이지에 ‘아동 기초학습능력’으로 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목적에서 나온 ‘보호아동의 가족 유대 감 증대’ 역시 내용적 관련이 높은 평가기준이 32페이지에 ‘가족 유대감’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이 평가기준을 그대로 사용하겠다. 이제는 각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 해야 한다. ‘야간 안전사고’에 관한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야간 안전사고 발생 유무 혹은 발생 건수/비율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예시에서는 <야간 안전사고 평균 발생 건수>를 지표로 선정하고, 사업 시행 전후 한 달 평균 방임아동의 안전사고 발생 건수가 얼마만큼 감소하였는가를 살펴보겠다. ‘신체발달지수’는 <소아발육표준치 대비 실제 신체지수 차이의 변화량>을 지표로 SECTION 1 기본설명서 23 정하고, 동일연령 아동의 소아발육표준치와 방임아동의 실제 신 체 발육상태를 비교하여 사업 전후 그 차이의 변화를 살펴보겠 다. ‘기초학습능력’은 본 자료집의 61페이지에 제시된 <학교 과 제물 달성 정도>를 참고하여 <학교 숙제 완성한 빈도의 증가량> 을 지표로 선정하고, 추가로 <학교 성적이 좋아진 아동의 수>를 함께 지표로 넣겠다. 마지막으로 ‘가족 유대감’은 62페이지에 제 시된 <가족관계 점수>를 지표로 선정하고, 실제 측정은 67페이 지의 가족관계 척도를 이용할 것이다. ‘가족 유대감’은 이 외에도 53페이지의 <가족대화시간 증가율>을 지표로 함께 넣겠다. 목적부터 지표까지 모든 선정 작업이 끝나게 되면 각각 선정된 평가기준과 지표가 얼마나 적절한가를 진단해야 한다. 평가기준 과 지표의 내용타당도 분석은 본 자료집의 18페이지에 제시된 내용타당도 분석 방법을 활용하기 바란다. 본 자료집에 제시된 분석 방법의 절차 및 기준대로 내용타당도 분석을 진행한다면 선정한 평가기준과 지표를 사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20페이지에 제시된 ‘평가기준 및 지표의 내용타당도 검토 의뢰 서’는 단지 참고용임을 유념하기 바란다. 이상의 모든 절차에 따라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고, 평가기준과 지표를 선정하였다면 사업의 평가업무 계획을 큰 무리 없이 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 여기에 소개된 평가기준과 지표의 주요 출처는 그 동안 사회복지공동모 금회의 배분사업에 제출된 일부 사회복지사업 기획서들(proposal)입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업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데 제약이 있습니다. ▪ 평가기준과 지표는 새로운 사회복지사업을 기획할 때 참고용 자료로 활 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소개된 평가기준과 지표를 읽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데 활용하시기를 권장합니다. 혹은 자신의 사업내 용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 평가기준과 지표는 사업 목표(산출목표와 성과목표)의 달성여부를 확인하 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업 목표를 먼저 확정한 다음 평 가기준과 지표를 선정하십시오. ▪ 제시된 28가지의 심리척도는, 가능한 국내에서 개발된 척도를 우선으로 싣고자 하였고, 수정․번안된 척도의 경우 반드시 국내에서 다시 타당도 와 신뢰도를 재분석한 것만 포함하였습니다. 따라서 제시된 척도들은 대 체로 신뢰도와 타당도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것입니다. ※ 일러두기 ※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27 영역 설명 산출 및 성과 (outputs & outcomes) 사회복지사업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했던 결과물로서 사업의 목적과 관 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의 바람직한 변화 자원 (resource)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적, 물적, 재정, 시간, 정보적 자 원들 생산성 (productivity) 일반적으로 노동생산성을 의미. 투입된 노동력 대비 산출되는 산출(output) 혹은 성과(outcome) 효율성 (efficiency) 투입 대비 산출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산출(output) 혹은 서비스 개별요 소에 소요된 비용(cost)으로 측정 비용효과성 (cost-effectiveness) 성과(outcome) 당 소요된 비용(cost)을 의미 고객만족 (client satisfaction) 사회복지사업의 고객, 이해관계자, 지역사회 등이 보고하는 ‘사업에 대한 주관적 평가’ 서비스 품질 (service quality) 위의 7가지 모든 성과를 이끌어내는데 요구되는 서비스 과정상의 충실도 (fidelity) 1장 성과평가 영역과 평가기준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사업에서 성과평가를 할 때에는 다음의 7가지 영 역 안에서 평가기준을 선정한다. 이러한 성과평가 영역은 크게 ‘산출 및 성과’, ‘자원’, ‘생산성’, ‘효율성’, ‘비용효과성’, ‘고객만족’, 그리고 ‘서비스품질’로 구분된다(Poister, 2004에서 수정)5). <표 1> 일반적인 성과평가 영역들 5) 물론 이 외에도 다양한 성과평가 영역이 추가될 수 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28 1. 산출 및 성과(outputs & outcomes) 영역의 평가기준들 가족 건강성 관련 가족갈등 가족구성원 간의 견해, 처지, 이해의 불일치로 인해 생기는 긴장과 충돌 가족건강성 가족구성원들 간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트레스나 위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 가족관계 부부, 부모, 자녀 등 가족체계 내에 존재하는 상호인식, 이해 및 정서 적 유대감 가족기능 가족이 일반적으로 갖는 목적과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가 족구성원들 사이에 행해지는 역동적인 상호작용 가족환경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 등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족 내외의 조건과 자극 결혼 불안정성 남편이나 부인이 결혼생활에서 주관적으로 느끼는 이혼이나 별거에 대한 경향성의 정도 노년기 부부관계 황혼 이혼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노인 부부 간의 상호작용 행동패 턴 및 심리정서적 지원 이혼가족 가족관계 이혼위기를 경험하거나 이혼상태에 놓인 가족들의 구성원 인식 및 상 호 지지체계 장애인가족 가족관계 장애인이 있는 가족 안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유대감, 서로에 대한 이 해 및 대화 양식 조손가정 가족공동체의식 조부모와 손자녀 간의 대화 및 협력을 통해 형성된 바람직한 가족관 계 의식 조손가정 가족관계 조부모와 손자녀 간에 형성된 친밀한 인간관계 조손가정 갈등 조부모와 손자녀 간에 형성된 심리적 거리감과 일상생활에 대한 전반 적인 세대차이로 인한 갈등 중년부부 위기 신체·심리변화로 인한 중년부부 간 갈등 및 낮은 결혼생활 만족도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29 가치관 관련 미혼모 성의식 미혼모가 갖는 피임에 대한 지식 및 자주적 성 결정권 바람직한 교사 이미지 능력이나 생활지도 및 교육활동 방식 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기 대되는 교사의 이미지 새터민에 대한 연대의식 새터민 가정과의 교류를 통해 형성되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 장애아동 수용성 장애아동이 통합되어 있는 학교에서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에 대해 갖는 태도 시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시각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이해 정도 장애수용 장애인이 자기 자신의 장애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정도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인의 사고와 이해 정도 장애인 서비스 정신 장애인을 돕고 봉사하고자 하는 태도 장애인(정신지체) 성가치관 성에 대한 정신지체장애인의 인식 및 이해 정도 장애인에 대한 인식 비장애인이 장애인에 대해 갖고 있는 편견과 고정관념 장애인에 대한 태도 장애인에 대해 일반인이 갖는 권위의식, 자비심, 정신건강관념, 사회 생활 제한성 등의 태도 공정성 조직구성원이 보상절차 및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에 대해 공정하다 고 인식하는 정도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30 경제적 자립 관련 노숙인 사회 제도권 복귀 주민등록 말소자를 대상으로 한 벌금지원, 주민등록 복원, 신용불량 회복을 통한 취업지원 노인 재취업 기회 노인들에게 사회복귀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취업 기회 여성 직무역량 여성 가구주의 직무 수행 능력 여성결혼이민자 경제활동능력 미취업 상태인 여성결혼이민자가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 장애인 경제적 자립 장애인들이 경제적으로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거나 지배받지 않는 상태 장애인 직업적 잠재력 직업을 선택하거나 이직할 때 필요한 장애인 구직자의 적성 및 특기 장애인 직업재활 장애인이 직업훈련 및 구직활동, 고용유지 등을 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전문적 활동 장애인 창업지원 장애인의 사회,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다양한 자원연계 및 실질 적인 창업컨설팅 장애인 취업기회 자기표현 및 직업기술 개발을 통해 장애인 스스로 취업을 결정하여 일할 수 있는 기회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31 부모기능 관련 부모 양육태도 자녀 양육에 대한 부모의 인지, 정서, 행동적 반응 부모역할 자녀를 키우고 보살펴 사회의 일원으로 참여시키고 책임감을 형성 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창출하는 기능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공동체 의식 아동양육 부모 자조집단의 전문성 부모들이 양육방식에 대한 교육 및 정보교환을 통해 자녀양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여 활용하는 수준 장애아동 부모 교육 장애아동의 효과적인 양육을 위한 부모 교육 조부모 임파워먼트 손자녀와 조부모로 구성된 가정에서 조부모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부모역할에 대한 권한을 강화하는 정도 사회성 관련 사회성 사회에 적응하는 개인의 소질이나 능력, 대인 관계의 원만성 위탁아동, 청소년의 사회성 사회에 적응하는 위탁아동, 청소년들의 소질이나 능력, 대인 관계의 원만성 청소년 자원봉사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의 자발적인 사회봉사활동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32 소속·유대·응집 관련 가족 응집력 가족체계 내에서 가족원 상호간에 지니는 정서적 유대감 가족유대감 가족구성원들이 서로 결합하고 협동하려는 정서적 태도 또래애착 또래 내에서 다른 사람을 가까이 하고 이를 유지하려는 행동 부모에 대한 애착 부모를 사랑하고 부모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자녀의 태도 새터민 어르신 사회성원 소속감 새터민 어르신이 또래집단 및 사회적 관계 등에서 자신을 사회구성 원으로서 감지하고 있는 소속감 위탁모 유대감 시설 위탁보호 아동과 연고자 상호간에 공유하는 생각이나 느낌 장애아동 가족 유대감 장애아동과 가족구성원 간의 친밀한 정서적 교류 장애아동 부모 유대감 장애아동과 부모 사이에 공유하고 있는 느낌이나 생각 해외입양청소년 가족유대감 해외입양청소년과 양부모가 서로의 신체적․심리적 차이를 인정하 고 가족이라는 무리에 속해있다는 인식으로 얻게 되는 만족감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33 신체 건강성 관련 노인 자가 건강관리 능력 노인 스스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 미취학 아동 발달 양육시설 미취학 아동의 정상적인 발육 및 성장 이주노동자 건강 및 재활 이주노동자들의 육체적 건강 상태 및 재활에 대한 의지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34 심리적 자립 관련 내외통제성 사건에 대한 개인 자신의 내외적 통제력 노숙인 자활의지 노숙인이 자아존중감을 회복하고 자긍심을 높여 자기 힘으로 살아 가려는 의지 아동, 청소년의 자립성 아동, 청소년이 남에게 의지하지 않으며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책임 지는 자세 외적 통제소 성향 자신의 생활과 삶에 대한 통제능력이 자신 내부가 아닌 타인이나 운명에 있다고 느끼는 태도 위기가정 및 요보호가정 역량 한부모가정 및 조손가정 구성원들이 심리․정서적 안정성을 추구하 고 가족통합을 유지해 낼 수 있는 능력 장애인 취업동기화 장애인이 다양한 직업체험을 통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 을 탐색하고 취업에 대한 욕구를 갖는 상태 장애인 취업의지 장애인이 직업을 통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자아실현의 잠재적 인 가능성을 발견하여 삶의 질을 개선하려는 노력 피학대 아동 자립의지 피학대 아동이 심리 정서적 안정과 대인관계 회복을 얻고자 하려는 심리적 상태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35 역량강화 관련 개인의 내적 임파워먼트 클라이언트가 자신과 관련된 다양한 의사결정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자기 삶에 대한 권한이 부여된 상태 사회복지사 임파워먼트 사회복지지사가 직무를 수행하면서 지각하는 '할 수 있다'는 신념 및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능력 새터민 자기 역량 새터민이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대인관계 및 경제활동을 강화시킬 수 있는 능력 빈곤아동 역량 영구임대 아파트 및 저소득 요보호 가정 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시각장애 청소년 역량 저시력 청소년이 학습 성취도 향상 및 미래에 대한 뚜렷한 비전 확립 을 통해 자신의 일을 잘 수행해 낼 수 있는 능력 조손가정 손자녀의 개인 내적 역량 조손가정 내에서 손자녀의 자기관리 및 일상생활 관리 능력 조손가정 조부모의 개인 내적 역량 조손가정 내에서 조부모의 양육 및 일상생활 대처 능력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36 예방 관련 장애노인 치매 예방 고위험군 대상의 집단프로그램을 통한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치매 예방 및 치매발현 지연 인권 관련 아동, 청소년의 인권 시설 위탁보호 아동, 청소년의 생존에 있어서 불가결한 기본적인 권리 자신감 관련 새터민 자신감 새터민이 남북한 간의 이질적인 체계로 인해 경험하는 생활고충과 심리적 불안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확신 장애인 구직 자신감 장애인이 구직활동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구하고, 지속적인 근무를 통해 자립할 수 있다는 믿음 주장성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솔직한 태도를 보이는 능력 빈곤 청소년의 자신감 저소득층 청소년이 자신에게 주어진 여건에 만족하고, 자신의 능력 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태도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37 자아존중감 관련 긍정적인 자아개념 자신의 신체, 능력, 사회적인 모습에 대한 현실적인 자아와 이상적인 자아 간에 일치도가 높은 상태 노인 자아존중감 노인이 무력감과 상실감을 극복하고,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켜 자기 자신을 자율적인 존재로 느끼는 태도 미혼모 자아존중감 미혼모가 자기 자신을 가치 있고 소중한 존재로 여기는 태도 아동 자아존중감 아동이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주어진 일을 잘 해낼 수 있다고 믿는 태도 학생 자아존중감 학생이 가정, 학교, 사회 등에서 느끼는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 및 감 정 청소년 자아존중감 저소득층 청소년이 자기 자신을 가치 있고, 소중하며, 능력이 있는 존 재로 수용하는 태도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38 적응력 관련 노숙인 사회적응 능력 노숙인이 사회가 원하는 사람이나 사회에 어울리는 사람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 대인관계 집단생활 속에서 구성원 상호 간에 형성되는 심리적 관계나 상호작용 부부적응 결혼한 부부가 만족, 일체감, 합의, 애정표현 등을 통해 서로를 인식하 는 정도 새터민 어르신 일상생활 적응 지하철 이용 등 새터민 어르신의 일상생활에 대한 적응 능력 시설아동 사회적응 능력 시설아동이 타인들과 사회생활을 원만하게 할 수 있는 능력 아동 시설적응 시설 위탁보호 아동의 시설적응 능력 아동 인간관계 능력 또래관계 내 아동의 자신감 및 대인관계능력 아동 자기관리 능력 아동 스스로 능동적인 자세로 학습하는 습관을 형성하고, 주변 인식변 화를 통해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는 능력 아동 적응력 저소득층 아동들의 사회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 아동 학교생활 적응 아동이 학교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 여성결혼이민자 가사 활동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을 포함한 전반적인 가사활동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능력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 능력 여성결혼이민자 일상생활 여성결혼이민자가 자기관리나 동네친구를 만드는 등의 일상생활을 원 활히 할 수 있는 능력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39 요양시설 입소 어르신 지역사회 적응력 결연봉사자와의 관계를 통한 요양시설 입소 어르신의 자존감 회복 및 지역사회 참여 호응 정도 이주노동자 한국생활 적응능력 이주노동자의 일상생활 및 노동현장 적응능력 이혼가족 적응력 이혼과정 및 이혼 후 겪게 되는 심리사회적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 자기관리 기술 식사, 수면, 개인위생, 사회생활, 가사활동, 여가생활 등에서 자기 자신 을 관리하는 기술 장애노인 지역사회적응 심리적 안정을 통한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지역사회 참여 장애아동 가족의 사회적응력 장애아동 가족이 지역사회 내에 정착하여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 장애인 사회 적응력 집단프로그램과 문화체험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심리적 안정 및 삶의 질 추구 능력 정신지체인 삶의 활력 일상생활에 대한 정신지체인의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참여 장애인 직업 적응력 장애인이 직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직무에 적합한 사람으로 적응 할 수 있는 능력 조직적응성 직장에서 주어진 과업을 잘 수행하고 동료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 지하는 능력 청소년 문제대처 행동 청소년들이 문제나 어려운 상황을 다루어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 하는 행동 학교생활 적응 학교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교육적 환경을 자신의 욕구에 맞게 변화시키거나 그러한 환경에 순응하는 상태 학교적응 유연성 학교에 대한 흥미, 성적, 학업, 규범 등의 영역에서 청소년이 학교생활 에 잘 적응하는 정도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40 정신 건강성 관련 가출 청소년 스트레스 가출 청소년에게 가해지는 부적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긴장상태 건강한 노년생활 노인이 은퇴 후 마음의 평안을 얻고, 긍정적인 계획을 세우며 살아가 는 삶 건강한 노후 은퇴 이후 노인에게 찾아오는 심리, 정서적 박탈감을 극복하고 긍정적 으로 살아가는 것 건강한 자아상 자신의 역할이나 존재에 대해 갖는 긍정적인 생각 경제적 스트레스 한정된 경제적 자원으로 가족구성원의 욕구를 최대한 만족시키려고 할 때 발생하는 경제적 긴장 공격성 타인에게 손상을 입히려는 의도와 표출된 행동 혹은 분노, 흥분, 의심 하는 심리상태 노인 심리적 건강 기능 노인의 우울 및 전반적인 심리안정 상태 노인 자기관리 능력 노년기 생활에서 오는 우울과 스트레스를 자가진단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 새터민 어르신 정서․심리적 안정감 새터민 어르신의 지역사회 적응을 통한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 성인 우울 (성인이)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활기가 없는 상태 소진 정서적 압박 및 동기부여 기제의 결핍으로 인한 직무불만족에서 오는 정서적 소모 스트레스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할 때 느끼는 긴장 상태 시험불안 시험상황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불안의 정도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41 아동의 정서적 안정감 자녀가 어머니의 심리적 지지를 통해 갖는 편안함 (방임) 아동의 정신건강 가족구성원과 정서적 유대를 통해 얻게 되는 방임 아동의 심리적 안 정감 아동우울 행동문제, 흥미상실, 자기비하 등을 통해 나타나는 아동의 우울한 기 분 양육 스트레스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불안정 상태 양육 죄책감 격리불안, 역할수행 미흡, 취업갈등 등을 통해 경험하는, 자녀에 대한 취업모의 죄책감 입양모 상실감 및 슬픔 입양을 보낸 후 산모들이 느끼는 슬픔, 침울, 우울감 장애아동 출산 및 양육 스트레스 장애아동의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해 겪게 되는 부모의 심리적 불안이 나 혼란 장애인 스트레스 장기간의 공동생활에서 오는 장애인 집단 내의 갈등과 심리적, 신체 적 긴장 상태 장애청소년 부모 스트레스 장애청소년의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긴장 상태 조손가정 스트레스 손자녀와의 세대 간 차이로 인한 조부모의 심리적인 괴로움 및 부모 의 부재로 인한 조손가정 손자녀들의 정서적인 불안감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42 정체성 관련 성역할 정체성 특정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인식하는 자신의 성역할 자아정체성 사회성, 자기수용, 자율성, 적응력 등을 통해 자신을 독립적 존재로 인식하는 태도 탈북 청소년 자아정체감 탈북 청소년이 자신의 성격, 취향, 가치관, 능력, 인간관 등에 대해 갖는 명확한 인식 해외 입양 청소년 정체성 해외 입양 청소년의 자기에 대한 인식과 평가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43 지식 및 학습 관련 노인 정보 능력 은퇴 후에 자기 생활을 설계하고,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기능을 활 용할 수 있는 노인의 능력 아동 기초학습 능력 놀이학습 및 기초학습 지도의 기회 제공을 통해 향상 가능한 결손 가정 아동의 기본적인 학습 수행 능력 아동 학습 능력 아동이 스스로 학습하는 습관을 통해 학업성취력을 향상시키려는 태도 여성 의사소통 능력 저학력 여성의 문법에 대한 이해 및 응용력, 그리고 적절한 대화 능력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능력 가족 간의 의사소통 및 자녀양육에 필요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어 구사 능력 자녀 성교육 일상생활 속에서의 성 문제에 대한 대처법 및 성에 대한 궁금한 점 을 부모가 직접 설명함으로써 자녀의 성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교육 자살예방 전문가 양성 지역사회의 위기 자살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자살예방 전문가 양성 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정보 제공 지역사회자원 분석을 통해 장애아동 가족에게 장애관련 정보를 제공 학습기회 제공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교육의 기회를 갖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학습 수준에 맞는 ‘열린 교육’ 기회를 제공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44 효능감 관련 시설 위탁 연고자의 양육효능감 시설 위탁 아동을 성공적으로 양육할 수 있다는 시설 위탁 연고자 의 내재적 신념 자기효능감1 일에 대한 자신의 능력이나 성취력에 대한 자신감 자기효능감2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능력을 믿고,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는 태도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45 2. 자원(resources) 영역의 평가기준들 인적자원 관련 네트워크 구축 청소년 보호를 위한 학교, 동사무소, 청소년공부방, 복지관 실무자 간의 네트워크 형성 노인 정서적 지원 노인들 간의 자조집단 구성을 통한 정서적 지지망 구축 사회적 지지 주위사람들로부터 받는 도움, 인정, 관심 새터민 지역사회 정착 원조 지역사회 내 다양한 접촉을 통한 새터민의 지역사회 정착 원조 아동 성장환경 신체적으로 안전하고, 심리적으로는 안정된 상태로 아동들이 생활 가능한 환경 아동에 대한 지역사회 지지체계 지역사회 자원 조직을 통한 결손가정 아동의 경제적, 정서적 지지 자원봉사대 조직 저소득 독거노인을 돕기 위한 자원봉사대의 구성 및 활동 장애아동 부모들과의 네트워크 자녀가 동일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아동 부모들 간의 자조집 단 형성 및 정보공유 장애인 네트워크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돕기 위한 정신보건센터, 장애인복지관, 일반사업체 등의 협력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회복지사, 자살예방전문가, 정신과 의사, 정신보건센터, 동사무소 등 전문단체 및 전문가로 구성된 네트워크 체계 (계속)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46 지역사회 아동보호 지역사회 아동에게 학교 교육에 도움이 되는 자원을 제공하고, 협력적인 활동을 하는 보호체계를 구축 지역사회 부모 네트워크 지역사회 내 아동청소년들의 조화로운 성장과 발달에 기여하기 위한 부모의 상호 교류 및 연대 지역사회 지지체계 저소득 가정 결연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주민의 관심 및 지원 증진 지역사회 통합 지속적인 양육자원 제공을 통한 지역공동체의 통합 지역사회와의 자원 연계 지역사회 내에서 원조 받는, 양적 혹은 질적인 자원의 연계 후원자 사회복지사업을 지원하고자 참여하는 후원자들 물적자원 관련 후원 모금된 후원금 혹은 물품 시설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시설의 유지 및 보수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47 3. 생산성(productivity) 영역의 평가기준들 산출 관련 상담 건수와 관련된 생산성 특정 기한 동안 청소년상담실에서 진행된 평균 상담 건수 네트워크와 관련된 생산성 사회복지사 1인이 특정 기간 동안 관리한 협회 가입단체 수 클라이언트 수와 관련된 생산성 사회복지사 1인이 특정 기한 동안 지원한 클라이언트 수 성과 관련 가족문제 해결과 관련된 생산성 가족상담 프로그램에서 사회복지사 1인이 특정 기한 동안 ‘해결’ 한 가족문제 사례 수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과 관련 된 생산성 빈곤아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사회 위원회 구성을 주도한 사회 복지 인력의 수 노인 돌봄과 관련된 생산성 병원에서 성공적으로 노인의 건강을 관리․유지하는 직원 수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48 4. 효율성(efficiency) 영역의 평가기준들 결식아동 지원 비용 결식아동에게 주는, 1회 식사량에 소요되는 비용 박물관 견학 비용 문화체험 프로그램 중 OO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박물관 견학에 소요된 비용 장애진단 비용 장애인 1인의 장애 판정에 소요되는 비용 직업능력검사 비용 정신지체인 1명에게 제공되는 직업재활 프로그램 중 ‘직업능력검 사’에 소요되는 비용 성폭력 피해아동 상담 비용 성폭력 피해아동 1명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검사, 상담, 사진촬영, 비디오녹화 등에 소요되는 총비용 시설 유지보수 비용 상담실 건물을 1년 동안 유지․보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49 5. 비용효과성(cost-effectiveness) 영역의 평가기준들 결식아동 변화 비용 1명의 결식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하는 데 소요된 총비용 직업재활 비용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정신지체인 1명이 취업에 성공하기까 지 들어간 총비용 성폭력 피해아동 치료 비용 성폭력 피해아동 1명이 임상적으로 건강하다고 진단받을 때까지 소요된 총비용 가족치료 비용 가족문제를 갖고 내원한 한 가족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까지 소요 된 총비용 치매노인 기능향상 비용 치매노인 1명이 기억력 회생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 이는 데까지 소요된 총비용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50 결혼 만족도 부부가 결혼생활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로서, 결혼생활 전반에 관한 부부의 행복과 만족의 정도 고용주 만족도 장애인을 채용한 고용주가 느끼는, 장애인의 직무능력에 대한 만족 정도 노인 삶의 질 노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 갖는 존중감 및 전반적인 삶의 만족 정도 노인 생활 만족도 노인의 일상생활 및 지역사회 지지에 대한 만족의 정도 생활 만족도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정도 이용자 만족도 프로그램 이용자가 느끼는 만족의 정도 직무만족 조직구성원 스스로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직무에 대해 만족하고 있 는 정도 직업재활 만족도 장애인이 자신이 참여한 직업재활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 내리는 긍 정적 평가의 수준 6. 고객만족(client satisfaction) 영역의 평가기준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51 7. 서비스 품질(service quality) 영역의 평가기준들 서비스 관련 적시성 도움이 필요한 시기에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가 제공되는 정도 마케팅 프로그램의 성과를 지역사회의 잠재적 클라이언트에게 홍보한 정도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프로그램에 반영한 정도 클라이언트 관리 평소 클라이언트와 편지, 이메일, 전화 등을 통해 접촉해서 기관과 연결망 유지한 정도 서비스 초점 서비스의 내용이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되어, 꼭 해결이 필요한 문제 에만 접근한 정도 프로세스 관련 매뉴얼 제작 및 보급 실무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표준화 시킨 매뉴얼 제작 및 보급 전문가 자문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외부 전문가의 참여 및 자문 직원 평가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실무자의 역량 진단 및 평가 재정관리 책임성 정기 감사 실시 프로세스 개선 프로그램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업의 진행과정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정 보완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53 1 가정방문 멘토링 서비스 인원·횟수 2 가정방문 봉사자 모집률 3 가족간담회 시행 횟수 4 가족구성원들의 활동시간 증가율 5 가족대화시간 증가율 6 가족상담 횟수 7 가족신문 발간 및 배포 부수 8 가족여행 횟수 9 간담회 실행 여부·횟수 10 간담회 출석률 11 개별목표 달성률 12 개별상담 횟수 13 개별수행능력 평가 여부·횟수 14 건강검진 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15 건강상태 체크 여부 16 결성한 커뮤니티 수 17 결손가정아동 사례관리 수 18 결손가정아동 사후관리 여부·횟수 19 결식아동대상 식사제공 여부·횟수 20 결연물품 제공 여부·횟수 21 결연자원봉사자 수 22 결연자원봉사자와의 만남 횟수 23 결연지속 가정 수 24 결연지속률 25 결연후원 달성률 26 결연후원금 지원 수준 27 결연후원자 모집률 28 결연후원자 수 29 경시대회 참여 횟수 30 경시대회 참여율 31 경제적 지원 수준 2장 지표 1. 객관적 지표6)(가나다 순) 6) 객관적 지표는 주로 셈(count) 자료로 수집되며, 측정의 신뢰도가 매우 높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54 32 경제활동교육 수료율 33 경제활동교육 시행 여부·횟수 34 계절학교 참가자 수 35 계절학교 출석률 36 공모전 출품 횟수 37 공연관람 횟수 38 공연관람자 수 39 과제물 달성률 40 과제물 제출 여부·횟수 41 관계증진 프로그램 실시 여부·횟수 42 관공서 이용교육 시행 여부·횟수 43 교육 후 활용가능 여부 44 교육과정 결석률 45 교육과정 수료율 46 교육과정 수료자 수 47 교육과정 실시 여부·횟수 48 교육과정 참가자 수 49 교육과정 출석률 50 기관 홈페이지 신규 게시글 수 51 기술활용 가능 여부 52 나들이활동 참여자 수 53 나들이활동 횟수 54 노동관련 법률교육 시행 여부·횟수 55 대상자 모집률 56 독거노인 소그룹 형성 여부 57 동료관계향상 체크리스트 시행 여부 58 동아리활동 참여율 59 동호회 등록 회원수 60 또래모임 참가율 61 또래모임 횟수 62 리더십 캠프 참여율 63 리플렛 발간 여부·횟수 64 매뉴얼 발간 수 65 매뉴얼 제작 여부·횟수 66 멘토링 서비스 연계율 67 멘토활동 참가 인원 68 멘토활동 횟수 69 모집인원 달성률 70 목욕지원 여부·횟수 71 목표달성률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55 72 목표대비 교육 참여율 73 목표대비 모집 인원 수 74 목표대비 상담률 75 목표대비 자조모임 결성 수 76 목표대비 참가자 수 77 목표대비 프로그램 달성률 78 목표대비 학력 변화 정도 79 목표서비스 제공 비율 80 무료급식 제공 횟수 81 무료급식 참가자 수 82 무료진료소 방문 횟수 83 무료학습 지도 횟수 84 무료학습 참가자 수 85 문화공연관람 여부·횟수 86 문화이해 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87 문화체험교육 시행 여부·횟수 88 문화탐방 시행 여부·횟수 89 문화활동 증가율 90 문화활동 참여 횟수 91 문화활동일지 작성 여부 92 미술치료 시행 여부·횟수 93 발대식 참가율 94 발표자료집 발간 수 95 발표회 개최 여부·횟수 96 발표회 참가율 97 발표회 참가자 수 98 방과 후 학교 참가자 수 99 방과 후 학교 출석률 100 봉사시간 증감 비율 101 부모교육 실시 여부·횟수 102 부모교육 이수율 103 부모교육 참가자 수 104 부모교육 프로그램 시행 횟수 105 부모-자녀관계 결속강화 프로그램 횟수 106 부부상담 횟수 107 브로셔 제작 수 108 사례관리 수 109 사례관리 여부·횟수 110 사례집 발간 여부 111 사례집 발송 부수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56 112 사례회의 실시 여부·횟수 113 사례회의 참가자 수 114 사업홍보 횟수 115 사전 워크숍 실시 여부·횟수 116 사전 워크숍 참가율 117 사전 워크숍 참가자 수 118 사회성향상 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119 새로 사귄 친구의 수 120 새터민 인식개선운동 시행 여부·횟수 121 새터민 자조모임 횟수 122 새터민 취업률 123 새터민 취업자수 124 새터민과의 봉사활동 횟수 125 생활비 대비 여가생활비 지출률 126 생활상담진행 여부·시간·횟수 127 생활시설 이용교육 여부·횟수 128 생활용품 지원 정도·횟수 129 서비스마인드 체크리스트 시행 여부·횟수 130 선진복지시설 견학 여부·횟수 131 선후배 자조모임 결성 여부·횟수 132 성교육 실시 여부·횟수 133 세미나 실시 여부·횟수 134 소외계층 정서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135 소풍 시행 여부·횟수 136 수기 공모자 수 137 수료생 배출률 138 수화교육 참여율 139 수확물 나눔 횟수 140 쉼터 청소 횟수 141 신용불량자 회복률 142 신용회복 상담 및 교육 참여율 143 신체수발서비스 제공 여부·횟수 144 신체적기능 사정 여부·횟수 145 실무자 정기모임 참여율 146 실무자 정기모임 횟수 147 실무자 프로그램 수료율 148 실습 참여율 149 실적평가 실시 여부·횟수 150 심리검사 신청 건수 151 심리안정교육 실시 여부·횟수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57 152 심리치료 프로그램 참여자 수 153 심리치료 프로그램 출석률 154 심층상담 횟수 155 아동 결식률 156 아동 및 조부모 상담 횟수 157 아동상담 횟수 158 아동질병 발생률 159 안내서 발간 여부 160 안부전화 횟수 161 야외활동 참여 횟수 162 양부모 사례발표 실시 여부 163 양육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164 양육프로그램 출석률 165 언어발달평가 달성률 166 여가기술교육 실시 여부·횟수 167 여가문화활동 동행지원 여부·횟수 168 여가활동수첩 기록 여부·횟수 169 연극치료 시행 여부·횟수 170 우울증 예방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171 운동경기 관람 여부·횟수 172 운영위원회 개최 횟수 173 워크숍 참가율 174 원예치료 시행 여부·횟수 175 월 근로 일수 176 위기가정 결연 여부·횟수 177 위생 및 병원시설 방문 횟수 178 위생 및 병원시설 이용교육 횟수 179 유명인사 특강 횟수 180 의료서비스 지원 인원수 181 의료서비스 후 발병률 182 의사소통 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183 이웃초청행사 참가자 수 184 이웃초청행사 횟수 185 이주노동자 건강상태 체크 여부 186 이혼법률정보 강좌 실시 여부·횟수 187 이혼위기상담 여부 188 이혼적응 프로그램 실시 여부·횟수 189 인권교육 시행 여부·횟수 190 인식개선 캠페인 시행 여부·횟수 191 인지력 검사 시행 여부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58 192 인터넷뱅킹 이용 횟수 193 일기 작성 횟수 194 일상생활적응 프로그램 종류 195 일상생활적응 프로그램 실시 여부·횟수 196 일자리제공 인원 197 자기건강관리 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198 자격시험 응시율 199 자격시험 합격률 200 자격증 취득률 201 자격증 취득자 수 202 자기관리교육 프로그램 참여율 203 자기관리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수 204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205 자녀양육 정보제공 여부·횟수 206 자녀양육교육 횟수 207 자료집 배부 수 208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시행 횟수 209 자원봉사자 수 210 자원봉사자 자조모임 횟수 211 자원봉사자 참여율 212 자원봉사활동 참여 횟수 213 자원연계 수 214 자원연계 효과성 평가 여부 215 자조모임 비상연락망 구축 여부 216 자조모임 시행 여부·횟수 217 자조모임 참여자 수 218 자조모임 출석률 219 자조집단 인터넷카페 가입자 수 220 자체 과정평가 실시 여부·횟수 221 작업 시간 222 작업 일수 223 작업 채점표 작성 여부 224 작품 전시회 출품 여부·횟수 225 작품 판매 증감률 226 작품집 발간 여부·횟수 227 작품활동 실시 여부·횟수 228 장보기교육 시행 횟수 229 장애이해 교육시행 여부·횟수 230 장애인 생산품 제작 횟수 231 장애인 차량이동 지원 횟수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59 232 장애인·비장애인 문화체험 횟수 233 장애인식개선 캠페인 시행 여부 234 재활운동 지도 건수 235 저축 금액 236 전년대비 가족해체 발생 건수 237 전년대비 구직신청자 비율 238 전년대비 사례발굴 건수 239 전년대비 위탁아동 수 240 전년대비 체중 및 비만도 변화 정도 241 전년대비 프로그램 시행률 242 전문가 상담 시행 여부·횟수 243 전문가 상담률 244 전문가 양성률 245 전문사례관리 자문단 수 246 전문사례관리체계 구축 여부 247 전문지식 공유 여부·횟수 248 전문지식 실습 여부·횟수 249 전문지식 활용 여부·횟수 250 전학년 대비 성적 변화 정도 251 정기 건강검진 횟수 252 정기 치료 횟수 253 정기 후원 지속률 254 정보화 교육 실시 횟수 255 정서안정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256 조리가능한 한국음식의 수 257 조손가정인식 설문 시행 여부 258 조직화교육 실시 여부·횟수 259 조직화교육 참여자 수 260 죽음준비 프로그램 시행 여부 261 중년기변화 교육 횟수 262 지역 내 협조 홍보물 발송 횟수 263 지역 내 편의시설 이용률 264 지역사회 네트워크구축 여부 265 지역사회 자원 개발수 266 지역사회 자원연계 횟수 267 지역사회 자원연계율 268 지역사회 협력회의 횟수 269 지역사회 협약체결 건수 270 지역사회활동 참가율 271 지역사회활동 참가자 수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60 272 지역사회활동 참여 횟수 273 직무수행능력 평가표 작성 여부 274 직업교육 이수 후 기술활용 인원 수 275 직업적성검사 시행 여부·횟수 276 직업적응훈련 실시 여부·횟수 277 직업진단 실시 여부·횟수 278 직업체험 프로그램 실시 여부·횟수 279 직업프로그램 참여율 280 직업프로그램 참여자 수 281 직업현장 출석률 282 직업훈련소 퇴소자 취업률 283 집단 내 문제행동 발생 횟수 284 집단미술치료 시행 횟수 285 집단활동 참여율 286 참가 가족 수 287 참가자의 활동전후 활동량 288 체험활동 참가 여부·횟수 289 추천받은 클라이언트 수 290 취업박람회 참가 여부 291 취업성공률 292 취업알선율 293 취업유지 인원 294 취업유지율 295 취업자 수 296 취업지원 연계 건수 297 치료대상이 되는 아동 발굴률 298 치매검사 시행 여부 299 치매검사 참가율 300 치매예방 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301 캠프 신청자 수 302 캠프 준비모임 참가율 303 캠프 참가율 304 컴퓨터 사용률 305 통합수련회 실시 여부·횟수 306 평가회 개최 여부·횟수 307 평가회 참여율 308 평가회 참여자 수 309 표준체중 유지자 비율 310 표준체중 유지자 수 311 프로그램 관리자 진행일지 작성여부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61 312 프로그램 수료 후 구직 신청자 수 313 프로그램 수요율 314 프로그램 수행평가 시행 여부·횟수 315 프로그램 시행 여부·횟수 316 프로그램 일지 작성 여부 317 프로그램 중도 탈락률 318 프로그램 중도 탈락자 수 319 프로그램 참가 여부·횟수 320 프로그램 참가율 321 프로그램 참가자 수 322 프로그램 참여자 소감문 작성 여부 323 프로그램 출석률 324 프로그램 홍보문자 전송 횟수 325 프로젝트 결과물 산출 여부 326 학교 결석률 327 학교 과제물 달성 정도 328 학교 성적 변화율 329 학교 성적 평균점수 330 학교 지각률 331 학습지도 횟수 332 한국문화체험 시행 여부·횟수 333 한국어 문장력 변화 수준 334 한국어 시험 합격률 335 행사 개최 여부 336 행사 참여자 수 337 현장학습 참여 여부·횟수 338 현장학습 참여율 339 현장학습 참여자 수 340 현장훈련 참여 여부·횟수 341 현장훈련 참여 후 취업률 342 현장훈련 참여율 343 현장훈련 취업연계 수준 344 협동작업 시간·횟수 345 홈스테이 시행 여부 346 홍보 및 연계회의 실시 여부·횟수 347 홍보물 발송 횟수 348 홍보물 제작 수 349 후원 업체 수 350 후원금 지원 수준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62 1 가사활동에 대한 가족의 만족도 2 가정방문 봉사 서비스 만족도 3 가정생활태도 변화 정도 4 가족관계 만족도 5 가족관계 점수 † 6 가족생활사건 및 변화 점수 † 7 가족유대감 만족도 8 가족응집성 점수 9 가족적응성과 응집력 평가 점수 10 가치관 변화 정도 11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변화 정도 12 결혼만족도 점수 13 결혼만족여부 14 결혼불안정성 점수 † 15 경제인식 변화 정도 16 경제적 스트레스 점수 † 17 교육 후 수행능력 수준 18 교육 후 지식획득 정도 19 교육과정 만족 여부 20 교육과정 만족 점수 21 교육과정 이해 정도 22 구직욕구 변화 정도 23 근로의식 변화 정도 24 기술습득 정도 25 노동관련 법률상식 점수 26 노인생활만족도 27 노인우울증 점수 † 28 노인자아존중감 변화 정도 29 대인관계변화 점수 † 30 대처기제 점수 † 31 또래관계 만족 점수 32 또래관계 변화 정도 33 또래애착 점수 † 34 리더쉽 변화 정도 35 무료급식 만족도 2. 판단적 지표7)(가나다 순) 7) 판단적 지표는 사람이 직접 판단해서 측정하는 자료를 의미한다. 여기에 제시된 판단적 지표 중 †표시가 된 26개 지표 는 <표준화된 척도>이며, 3장에 제시되어 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63 36 문제해결 점수 37 문제행동 변화 정도 38 문화탐방 만족도 39 방 과 후 학교 만족도 40 부모교육 만족도 41 부모교육 욕구 수준 42 부모양육기술 점수 43 부모양육스트레스 점수 44 부모양육태도 변화 정도 45 부모역할 책임감 변화 정도 46 부모와 교사지지 점수 † 47 부부 간 이해 수준 48 사 례관리에 대한 인지도 49 사회복지의 식 변화 정도 50 사회성 변화 정도 51 사회성 숙 도 변화 정도 52 사회적응능력 변화 정도 53 사회적지지 점수 † 54 사회적지지 지각 점수 † 55 삶의 만족 여부 56 삶의 만족 점수 † 57 삶의 질 변화 정도 58 새터민 대인관계 점수 59 새터민 직무만족도 60 새터민과의 봉사활동 만족도 61 생 명존중의 식 변화 수준 62 생활만족 점수 63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점수 † 64 성의식 변화 정도 65 수리 및 기억 력 변화 정도 66 수용성 점수 † 67 수화로 의사소통하는 정도 68 스트레스 변화 정도 69 시각장애인에 대한 인 식 변화 정도 70 신체능력변화 정도 71 신체발달지수 변화 정도 72 실무자 만족도 73 심리·정서 변화 정도 74 심리안정지수 75 아동과의 유대감 만족도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64 76 아동발달에 대한 이해 수준 77 아동의 대인관계 변화 정도 78 아동의 성장 변화 정도 79 아동의 언어능력 변화 정도 80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점수 † 81 아동의 정서적 안정감 변화 정도 82 양육스트레스 변화 정도 83 양육효능감 변화 정도 84 여가문화활동 동행지원 만족도 85 역량강화지수 변화 정도 86 우울증 점수 87 유대감 변화 정도 88 의료서비스 만족도 89 의사소통능력 변화 수준 90 이용자 만족도 † 91 인권인식 변화 정도 92 일반정신건강 점수 † 93 일상생활능력 변화 정도 94 일상생활수행능력 점수 95 자기개발 변화 수준 96 자기관리기술 변화 정도 97 자기유능감 변화 정도 98 자기유능감 점수 † 99 자기표현력 변화 정도 100 자기효능감 점수 † 101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점수 † 102 자녀양육효능감 점수 † 103 자립준비지수 변화 정도 104 자살태도 변화 정도 105 자아정체성 점수 † 106 자아존중감 점수 † 107 자원봉사만족 여부·점수 † 108 작품에 대한 만족 여부 109 작품에 대한 만족 점수 110 작품에 대한 책임감 수준 111 장애발생요인 인식 변화율 112 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만족 점수 113 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인식 변화 정도 114 장애인 채용 만족 여부 115 장애인 채용 만족 점수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65 116 장애인식 변화 정도 117 정보화 교육 이해수준 118 정신장애인 의사결정 수준 119 주관적 삶의 질 변화 정도 120 주장성 점수 121 중년기 스트레스 변화 정도 122 지역사회활동 만족 여부 123 지역사회활동 만족 점수 124 지역주민 호응 변화 정도 125 직무만족 점수 126 직업군 이해 수준 127 진로성숙도 변화 정도 128 진료에 대한 만족 여부 129 참가자 관계 만족도 130 참가자 만족 여부 131 참가자 만족 점수 132 참가자 정보제공 만족도 133 청소년 문제대처행동 점수 134 취업동기 변화 정도 135 친구 지지 변화 정도 136 캠프 만족 여부·점수 137 타인과의 상호작용 변화 정도 138 편견해소 정도 139 프로그램 만족 여부 140 프로그램 만족 점수 141 프로그램 이해 수준 142 학교생활 만족도 143 학교생활 태도 변화 정도 144 학교 적응유연성 점수 † 145 학생관련 체계에 대한 사정 점수 † 146 학습 효능감 수준 147 학습태도 변화 정도 148 한국문화체험 만족도 149 형제관계 만족도 150 홈스테이 만족도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67 3장 척도 1. 가족관계 척도 • 개발자 양옥경 • 목적 가족관계 척도는 가족내 구성원들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가족관계 척도는 가족의 정서적 기능에 초점을 두어 건강한 가족관계에 대한 자기 측정을 할 수 있게 개발되었고, 기존 국내 개발 척도들에 비해 간명하다는 특성이 있다. 본 척도는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가족관계 척도는 대학생 이상의 성인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가족관계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3으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 며, 타당도에서도 적절한 수준의 개념타당도와 기준관련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가족관계 척도의 점수는 24개 문항의 점수들을 합산하여 얻으면 되고, 역문항들(12, 13, 14, 15, 16, 17, 18번 문항)들은 역채점하여 계산하면 된다. 최저 24점에서 최고 120점 사이의 점 수가 산출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가족관계가 건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68 • 출처 양옥경(2001). 가족관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 제8호. 119-147. 양옥경ㆍ이민영(2003). 가족관계척도 활용을 위한 타당도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4권. 5-33.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69 가족관계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 ⑤ 항상 그렇다 1. 우리 가족은 가족끼리 대화가 잘된다. 2. 우리 가족은 각자의 친한 친구들을 서로 잘 알고 있다. 3. 우리 가족은 문제를 함께 잘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4. 우리 가족은 서로에 대해 잘 알고 있다. 5. 우리 가족은 각자의 감정에 대해 가족들에게 마음을 열고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한다. 6. 우리 가족은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서로 도움을 청할 수 있다. 7. 우리 가족은 여가시간을 함께 보내기를 좋아한다. 8. 우리 가족은 서로 친밀하게 느낀다. 9. 우리 가족은 서로 솔직하고 정직하다. 10. 우리 가족은 서로 지지해주고 격려해준다. 11. 우리 가족은 서로에게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12. 우리 가족에는 소외되는 사람이 있다. * 13. 우리 가족은 서로 무시한다. * 14. 어떤 일이 잘 되지 않을 때 우리는 가족 중 한 사람을 탓한다. * 15. 우리 가족은 문제해결을 위해 폭력을 사용한다. * 16. 어떤 일이 잘못될 때 우리는 서로 탓한다. * 17. 우리 가족은 개인을 인정하지 않는다. * 18. 우리 가족은 보다 다른 사람과 있는 것을 더 좋아한다. 19. 가족의 일을 계획할 때 우리 가족 모두에게 발언권이 있다. 20. 우리 가족은 서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한다. 21. 우리 가족은 서로의 감정을 존중한다. 22. 우리 가족은 각각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진다. 23. 우리 가족은 가족들간의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한다. 24. 우리 가족은 규칙이나 기준을 고집하지 않는다. * 역문항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70 2. 가족스트레스 척도 • 번안자8) 윤명숙 • 목적 가족스트레스 척도는 가족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가족스트레스 척도는 McCubbin 등(1991)에 의해 개발된 가족 생활사건 및 변화 척도(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FILE)에서 연구자의 연구 취지에 어긋나는 문항을 제 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사한 것이다. 총 6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본 척도는 여러 하 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총점만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 대상 가족스트레스 척도는 부부들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국내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가족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α값이 .98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의 경우 전문가 6인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토하였다. • 해석 가족스트레스 척도는 ‘예’라고 응답한 문항에 1점을 부여하고,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구한다. 최저 0점부터 최고 68점 사이의 점수가 산출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가 족의 스트레스가 더 크고 누적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 출처 윤명숙(1997). 알코올 중독 남편의 단주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 8) 번안자는 문항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여 타당화한 사람을 의미한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71 학교 박사학위논문. McCubbin, H. I. and Thompson, A. I.(eds.)(1991).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72 가족스트레스 척도 • 범주 그렇다 / 아니다 다음 문항들을 읽고 귀하의 가족이 지난 1년 동안 그러한 사건들을 경험하셨는지 아닌지를 해당되는 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경험하셨다면 ‘그렇다’에, 경험하지 않으셨으면 ‘아니다’에 V표 해주십시오. 생 활 사 건 지난 1년 동안 그렇다 아니다 1. 내가 집밖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었다. 2. 남편(부인)이 집밖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었다. 3. 가족 중 한 사람이 정서적인 문제가 있었다. 4. 가족 중 한 사람이 알코올이나 마약에 의존(중독)되었다. 5. 부부 사이에 갈등이 증가했다. 6. 자녀들과 의견이 맞지 않는 일이 많아졌다. 7. 자녀들 간에 다툼이 많아졌다. 8. 사춘기 자녀를 다루는 데 어려움이 많아졌다. 9. 초등학교 다니는 자녀(6~12살)를 다루는 데 어려움이 많아졌다. 10. 1-2살 사이 자녀를 다루는 데 어려움이 많아졌다. 11. 2-6살 사이 자녀를 다루는 데 어려움이 많아졌다. 12. 0-1살 사이 자녀를 다루는 데 어려움이 많아졌다. 13. 자녀들이 참가하는 바깥활동이 많아졌다. 14. 가족의 친구나 사업에 대한 의견충돌이 잦았다. 15. 해결 못하는 문제나 과제들이 많아졌다. 16. 처리 못한 일이나 집안일들이 많아졌다. 17. 양가 혹은 친척들과의 갈등이 많아졌다. 18. 남편(부인)이나 부모가 외도를 했다. 19. 부부 사이의 성생활이 원만치 못했다. 20. 내가 원하지 않는 임신을 했거나 임신 기간에 어려움이 있었다. 21. 혼전 임신한 가족원이 있었다. 22. 유산한 가족원이 있었다. 23. 가족원이 아이를 출산하거나 입양을 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73 24. 늘어난 지출을 처리하기 위해 대출을 받거나 빚을 졌다. 25. 생활보호대상자로 수당을 받았다. 26. 경제적, 정치적, 기상상태의 변화로 사업에 어려움이 생겼다. 27. 농산물시장, 주식시장 혹은 부동산값의 변화로 투자나 소득에 손실이 생겼다. 28. 가족 중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 사람이 있다. 29. 집을 짓거나 샀다. 30. 가족원이 자동차 혹은 다른 중요한 물건을 샀다. 31. 신용카드를 과도하게 사용해서 빚이 늘었다. 32. 병원비나 치과비의 지출로 가계에 부담이 늘었다. 33. 의ㆍ식ㆍ주, 난방비로 인해 가계에 부담이 늘었다. 34. 자녀교육비로 인해 가계에 부담이 늘었다. 35. 가족 중 직업을 바꿔 새로운 직장을 구한 사람이 있었다. 36. 가족 중 직장을 그만두거나 해고를 당한 사람이 있었다. 37. 가족 중 직장에서 은퇴한 사람이 있었다. 38. 가족 중 새로 직장을 시작하거나 복직한 사람이 있었다. 39. 가족 중 일정 기간 동안 일을 중단한 사람이 있었다(일시해고, 휴직, 파업 등). 40. 내 일이나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졌다. 41. 가족 중 직장에서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늘어난 사람이 있었다. 42. 가족 중 직장에서 승진을 하거나 더 많은 책임이 주어진 사람이 있었다. 43. 가족이 새 집이나 새 아파트로 이사를 했다. 44. 자녀가 새 학교로 전학을 하거나 상급학교로 진학했다. 45. 남편(부인)이 중병을 앓거나 심하게 다쳤다. 46. 자녀가 중병을 앓거나 심하게 다쳤다. 47. 가까운 친척이나 친구가 심하게 아팠다. 48. 가족 중 신체장애가 되거나 만성질환을 앓게 된 사람이 있었다. 49. 만성질환이나 장애를 가진 식구를 돌보는 것이 더 힘들어졌다. 50. 가족이나 가까운 친척들이 시설이나 요양소로 들어갔다. 51. 부모 또는 시부모님을 재정적으로 돕거나 직접 부양해야 하는 책임이 늘어났다. 52. 자녀를 잘 돌볼 사람을 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53. 배우자가 사망했다. 54. 자녀가 사망했다. 55. 부모, 시부모나 가까운 친척 중 사망한 사람이 있었다. 56. 친한 친구가 사망했다. 57. 결혼한 딸이나 아들이 별거하거나 이혼했다. 58. 가족 중 가까운 친구와 헤어진 사람이 있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74 59. 가족 중 결혼한 사람이 있었다. 60. 가족 중 성인이 되어 독립한 사람이 있었다. 61. 자녀가 대학을 들어가거나 또는 직업훈련을 시작했다. 62. 가족 중 한명이 집으로 다시 들어오거나 새로운 사람이 집으로 들어왔다. 63. 학교를 떠난 지 오래된 남편(부인)이 학교를(또는 훈련프로그램) 다니기 시작했다. 64. 가족 중 감옥이나 소년원을 간 사람이 있었다. 65. 가족 중 체포되거나 경찰의 조사를 받은 사람이 있었다. 66. 가정에서 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나 폭력이 있었다. 67. 가족 중 가출한 사람이 있었다. 68. 가족 중 학업을 중단하거나 정학을 받은 사람이 있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75 3. 결혼 불안정성 지수(marital instability index: MII) • 개발자 Edwards, Johnson, and Booth • 목적 결혼 불안정성 지수는 결혼 생활의 불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결혼 불안정성 지수는 부부관계의 불안정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이는 곧 이혼태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통해 이혼의 증감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본 척도는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 혹은 ‘아니오’로 응답한다. • 대상 결혼 불안정성 지수는 기혼자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원문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결혼 불안정성 지수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3으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다. 타당도에서도 적절한 수준의 예측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결혼 불안정성 지수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준에 따르면 ‘예’라고 응답한 문항 수가 0~2개인 경우는 22%, 3~4개인 경우는 26%, 5~6개인 경우는 31%, 7~9개인 경우는 38%, 10개 이상인 경우는 43% 정도의 이혼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국내타당화 및 적용 조성희(1999)의 연구에서 결혼 불안정성 지수를 번역 및 수정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를 하였다. 평균 α값은 사전조사가 .9437, 본조사가 .9919로 매우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였으며, 타당도의 경우 전문가 30인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문항의 응답방법 및 해석 기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76 준은 원척도와 동일하다. 제시된 척도는 조성희(1991)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이며, 실직 가장 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설문지의 문항 역시 남편의 관점에서 작성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본 척도를 부부 모두에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9. 아내와 재산배분에 대하여 얘기한 적이 있다’라는 문항은 ‘9. 아내 혹은 남편과 재 산배분에 대하여 얘기한 적이 있다’로 수정하면 된다. • 출처 조성희(1999). 실직자 가족의 해체가능성에 관한 연구. 실직 가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Edwards, J. N., Johnson, D. R., and Booth, A.(1987). Coming Apart: A Prognostic Instrument of Marital Breakup. Family Relation, 36, 168-170. Fischer, J. and Kevin, C.(1994).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 A Source Book. 2nd ed. New York : Free Press.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77 결혼 불안정성 지수(marital instability index, MII) • 범주 예 / 아니오 (아내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만 응답해 주십시오) 다음의 내용을 읽으시고 귀하의 부부관계와 가장 일치된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에 각 항목별로 표시해 주십시오. 그렇다 아니다 1. 부부도 가끔은 떨어져 생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결혼생활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다. 3. 아내가 결혼생활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4. 나는 결혼생활의 문제로 다른 사람과 의논해본 적이 있다. 5. 아내가 결혼생활의 문제로 다른 사람과 의논한 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6. 나는 이혼이나 별거를 생각해본 적이 있다. 7. 아내가 이혼이나 별거를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8. 나 또는 아내가 이혼을 심각하게 제의한 적이 있다. 9. 아내와 재산분배에 대하여 얘기한 적이 있다. 10. 법률가와 상담하는 것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다. 11. 나 또는 아내가 이혼이나 별거와 관련하여 법률가와 상담한 적이 있다. 12. 부부문제로 아주 짧은 기간동안 별거한 적이 있다. 13. 이혼이나 별거에 관한 서류에 대하여 아내와 얘기한 적이 있다. 14. 나 또는 아내가 이혼이나 별거 소송을 제기한 적이 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78 4. 경제적 스트레스 척도 • 개발자 오승환 • 목적 경제적 스트레스 척도는 가족생활 중 받게 되는 경제적 압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측정하 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경제적 스트레스 척도는 Conger 등(1992)이 개발하고 Simons 등(1994, 1996)의 연구에서 사 용된 척도(26문항)를 수정 보완한 것이며, 지불능력, 구입능력, 경제적 적응이라는 세 가지 측면의 경제적 압력 중 지불능력과 구입능력과 관련된 항목만 채택하였다. 본 척도는 총 8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1~4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경제적 스트레스 척도의 경우 특정 사용 대상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의 경제적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13세 이상의 아동 및 청소년, 그리고 성인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경제적 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은 예비조사가 .95, 본조사가 .95로 매 우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였으며, 타당도의 경우 전문가 14인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토하 였다. • 해석 경제적 스트레스 척도는 각 문항마다 해당 항목에 필요한 수입을 가지고 있는가를 측정하 며, 최저 8점부터 최고 32점 사이의 점수가 산출되는데 총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라고 볼 수 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79 • 출처 오승환(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Conger, R. D., Conger, K. J., Elder, G. H., Lorenz, F. O., Simons, R. L., and Whitebeck, L. B.(1992).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Influences on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Child Development, 63, 526-541. Simons, R. L. and Chao, W.(1996). Conduct Problems. In Simons & Associates, Understanding Difference Between Divorced and Intact Families. SAGE, 125-144. Simons, R. L., Lorenz, F. O., and Conger, R. D.(1994). Marital and Spouse Support as Mediator and Moderator of the Impact of Economic Strain upon Paren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9, 368-381.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80 경제적 스트레스 척도 • 범주 ① 매우 충분하다 ② 충분하다 ③ 조금 부족하다 ④ 매우 부족하다 1. 전세 및 월세 등의 집세 2. 의복비 3. 아파트 관리비, 전기세 등의 각종 공과금 4. 교통비 5. 식료품비 6. 병원 및 약국 등의 의료비 7. 취미 및 오락활동비 8. 학교 및 학원비 등 교육비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81 5. 노인 우울증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 개발자 Yesavage, Brink, Rose, and Leirer • 목적 노인 우울증 척도는 노인들의 우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노인 우울증 척도는 노인 우울증상을 감별하는 데 있어 비교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짧고 쉬운 단어들로 문항이 이루어져 있어 설문지 조사 혹은 구두 조사도 가능하다. 구두 조사의 경우에는 문항의 내용을 조사자가 반복해서 읽어주어야 한다. 본 척도는 총 30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 혹은 ‘아니오’로 응답한다. • 대상 노인 우울증 척도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원문의 신뢰도 및 타당도 노인 우울증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4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 며, 1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상관관계는 .85이다. 타당도에서도 기존의 우울검사들과의 관계 에서 적정한 수렴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노인 우울증 척도는 10개의 문항(1, 5, 7, 9, 15, 19, 21, 27, 29, 30번 문항, 긍정적 성향을 묻 는 문항)에 ‘아니오’라고 응답하고, 나머지 20개의 문항(부정적 성향을 묻는 문항)에 ‘예’라고 응답했을 경우를 우울의 상태로 보고 있다. 그리고 우울의 상태로 응답한 문항에는 1점, 비 우울의 상태로 응답한 문항에는 0점을 주어 그 점수들을 합산한다. 총점이 1~10점일 경우에 는 정상상태, 11~20점일 우울 가능상태로 볼 수 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82 • 국내타당화 및 적용 정인과 등(1997)의 연구에서는 노인우울증 척도를 우리나라의 노인 우울 양상에 맞게 수정 하여 타당화하였다. 평균 α값은 .88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였으며, 검사-재검사 의 상관관계는 .66이다. 타당도에서도 수렴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14개의 문항 (6, 7, 8, 9, 10, 11, 12, 13, 15, 16, 20, 21, 22, 30번 문항, 긍정적 성향을 묻는 문항)에 ‘아니 오’라고 응답하고, 나머지 16개의 문항(부정적 성향을 묻는 문항)에 ‘예’라고 응답했을 경우 를 우울의 상태로 보고 있다. 그리고 우울의 상태로 응답한 문항에는 1점, 비우울의 상태로 응답한 문항에는 0점을 주어 그 점수들을 합산한다. 총점은 최저 0점부터 최고 30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며, 14~18점일 경우에는 경도, 19~21점일 경우에는 중도, 22점 이상이면 우울 증의 정도가 매우 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시된 척도는 정인과 등(1997)의 연구에서 사용 한 것이다. • 출처 정인과ㆍ곽동일ㆍ조숙행ㆍ이현수(1997), 노인우울척도(GDS)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신경정 신의학. 제37권. 제2호. 340-351. Fischer, J. and Kevin, C.(1994).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 A Source Book. 2nd ed. New York : Free Press.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and Leirer, V. O.(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 37-49.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83 한국형 노인우울증 척도(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 범주 그렇다 / 아니다 다음 질문에 대해 지난 1주일 동안의 기분을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면 ‘예’,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면 ‘아니오’에 표시해 주십시오. 예 아니오 1. 쓸데없는 생각들이 자꾸 떠올라 괴롭다. 2.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처럼 무기력하게 느껴진다. 3.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할 때가 자주 있다. 4. 밖에 나가기보다는 집에 주로 있으려 한다. 5. 앞날에 대해 걱정할 때가 많다. 6. 지금 내가 살아 있다는 것이 참 기쁘다. 7. 인생은 즐거운 것이다. 8. 아침에 기분 좋게 일어난다. 9. 예전처럼 정신이 맑다. 10. 건강에 대해서는 걱정하는 일이 별로 없다. 11. 내 판단력은 여전히 좋다. 12. 내 나이의 다른 사람들 못지않게 건강하다. 13. 사람들과 잘 어울린다. 14. 정말 자신이 없다. 15. 즐겁고 행복하다. 16. 내 기억력은 괜찮은 것 같다. 17. 미쳐버리지나 않을까 걱정된다. 18. 별일 없이 얼굴이 화끈거리고 진땀이 날 때가 있다. 19. 농담을 들어도 재미가 없다. 20. 예전에 좋아했던 일들을 여전히 즐긴다. 21. 기분이 좋은 편이다. 22. 앞날에 대해 희망적으로 느낀다. 23. 사람들이 나를 싫어한다고 느낀다. 24. 나의 잘못에 대해 항상 나 자신을 탓한다. 25. 전보다 화가 나고 짜증이 날 때가 많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84 26. 전보다 내 모습(용모)이 추해졌다고 생각된다. 27. 어떤 일을 시작하려면 예전보다 힘이 많이 든다. 28. 무슨 일을 하든지 곧 피곤해 진다. 29. 요즈음 몸무게가 많이 줄었다. 30. 이성에 대해 여전히 관심이 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85 6. 부모와 교사지지 척도 • 번안자 김지은 • 목적 부모와 교사지지 척도는 청소년의 부모지지 및 교사지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부모와 교사지지 척도는 Winefield 등(1992)에 의해 개발된 다차원지지 척도 (multi-dimensional support scale: MDSS) 척도를 수정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와 교사 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본 척도는 부모지지 7문항, 교사지지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빈도를 묻는 문항과 만족도를 묻는 문항 모두 3점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부모와 교사지지 척도는 청소년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국내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부모와 교사지지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α값은 부모의 정서적 지지 사전조사가 .9099, 본조사가 .9056이었고, 교사의 지지 사전조사가 .9902, 본조사가 .9702로 매우 높은 내적 일 관성을 보였다. 타당도의 경우 전문가 4인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토하였다. • 해석 부모와 교사지지 척도에서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최저 7점부터 최고 21점 사이, 교사의 정 서적 지지는 최저 6점부터 최고 18점 사이의 점수가 산출된다. 부모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 모두 점수가 높을수록 지지의 정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 출처 김지은(1998). 청소년의 재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86 Winefield, H. R., Winefield, A. H., and Tiggemann, M.(1992).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Young Adults: The Multi-Dimensiional Support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8, 198-210.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87 전혀 그렇지 않다 가끔 그렇다 정말 그렇다 만족하는 정도는? 불만족 다소만족 만족 1. 나의 부모님은 내가 고민이나 문제를 이야 기할 때 진지하게 듣는다. 2. 나는 부모님이 나의 문제를 진정으로 이해 하려고 애쓴다고 느낀다. 3. 나의 부모님은 내가 고민 때문에 심각해 지 지 않도록 나를 즐겁게 해주려고 한다. 4. 나의 부모님은 내가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 도록 한다. 5. 나의 부모님은 나를 위해 도와주거나 돈을 주는 등 실질적으로 나를 도와준다. 6. 나의 부모님은 내 고민에 대해 충고해 준다. 7. 나의 부모님은 내가 고민을 해결하는 데 있 어 본보기가 된다. 전혀 그렇지 않다 가끔 그렇다 정말 그렇다 만족하는 정도는? 불만족 다소만족 만족 1. 나의 선생님은 내가 고민이나 문제를 이야 기할 때 진지하게 들어주신다. 2. 나는 선생님이 내 고민을 진정으로 이해하 려고 애쓴다고 느낀다. 3. 나의 선생님은 내가 고민 때문에 심각해 지 지 않도록 우스운 이야기를 들려주신다. 4. 나의 선생님은 내게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방법으로 책임감 있게 나를 도와주신다. 5. 나의 선생님은 내 고민에 대한 해결방법을 충고해 주신다. 6. 나의 선생님은 내가 고민을 해결하는 데 있 어 본보기가 되신다. 부모와 교사지지 척도 • 범주 지지정도 -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가끔 그렇다 ③ 정말 그렇다 만족도 - ① 불만족 ② 다소만족 ③ 만족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88 7. 대인관계기술 척도 • 번안자 박현선 • 목적 대인관계기술 척도는 대인관계기술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대인관계기술 척도는 Schlein and Guerney의 대인관계변화 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를 전석균(1994)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척도 중에서 박현선 연구의 목적에 적절한 문항을 선별하여 타당화하였다. 본 척도는 총 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4까지의 리 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대인관계기술 척도는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대상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국내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대인관계기술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사전조사 .70, 본조사 .77로 적절한 수 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대인관계기술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구한다. 총점은 최저 7점에서 최고 28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대인관계 기술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 출처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석균(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 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89 대인관계기술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거의 그렇지 않다 ③ 가끔 그렇다 ④ 매우 그렇다 1. 나는 친구를 쉽게 사귄다. 2.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말을 걸기 전에 먼저 말을 건다. 3. 나는 친구가 자기의 고민을 털어놓을 때 잘 들어준다. 4. 다른 사람들에게 칭찬을 잘 해준다. 5. 다른 사람과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싸우지 않고 나의 의견을 말할 수 있다. 6. 다른 사람이 나에게 화를 낼 때 덩달아 화를 내지 않고 참을 수 있다. 7. 친구와의 사이에 문제가 생겼을 때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90 8. 대처기제 척도 • 개발자 오승환 • 목적 대처기제 척도는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을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하는 행동들 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대처기제 척도는 Carver 등(1989)에 의해 개발된 다차원 척도 COPE를 수정한 것이다. 원척 도의 경우 53문항, 13개의 하위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척도에서는 각 하위척도의 대표 적 문항 1가지씩을 선택, 수정하여 총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2문항은 문제해결적 대처 6 문항과 정서중심적 대처 6문항으로 구성되며 1에서 4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대처기제 척도는 청소년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대처기제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사전조사 .55, 본조사 .68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다.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대처기제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구하며, 역문항들(7, 8, 9, 10, 11, 12번 문항)의 경우에는 역으로 채점한다. 총점은 최저 12점에서 최고 48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 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해당되는 대처기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 출처 오승환(2001). 저소득 결손가정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91 Carver, C. S., Weintraub, J. K., and Scheier, M. F.(1989). Assessing Coping Strati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6, 267-283.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92 대처기제 척도 다음은 여러분이 여러 가지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을 경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는지 해 당되는 곳에 V표시를 해주십시오.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그런 편이다 ④ 매우 그렇다 1.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잘못된 점을 분석하고 계획을 세운다. 2.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한다. 3. 일이 잘 해결될 때까지 서두르지 않고 기다린다. 4. 친구나 선생님에게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위로를 받는다. 5. 친구나 선생님에게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도움을 받는다. 6. 그 문제의 긍정적 측면을 생각한다. 7. 운명에 따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 8. 신경질, 울음, 분노 등의 감정을 표현한다. * 9. 문제가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생각하거나 행동한다. * 10. 문제 해결을 위한 시간을 줄이거나 목표를 포기한다. * 11. 기도, 기원이나 종교 등에 의존한다. * 12. 문제를 잊기 위해 술이나 담배 또는 본드 등을 한다. * * 역문항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93 9. 또래애착 척도 • 번안자 정선욱 • 목적 또래애착 척도는 청소년들의 또래에 대한 애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또래애착 척도는 Armsden, and Greenberg(1987)에 의해 개발된 부모 및 또래애착 척도(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를 수정한 것이다. IPPA의 경우에는 부모 용 28문항, 또래용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뢰, 의사소통, 소외 등의 3가지 하위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나, 또래애착 척도에서는 또래용 25문항에서 총 13문항만을 선별하였고,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또래애착 척도는 부모와 단절되어 있는 시설보호 청소년들에게 적합하게 재구성되었으나, 일반 청소년에게 사용하는 것도 큰 무리는 없다. • 국내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또래애착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사전조사 .66, 본조사 .71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또래애착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구하며, 총점은 최저 13점에서 최고 65 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된다.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또래에 대한 애착의 정도가 강하다는 것 을 의미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94 • 출처 정선욱(2002). 시설보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Armsden, G. C. and Greenberg, M. T.(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95 또래애착 척도 다음은 여러분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친한 친구(시설 친구, 시설 밖 친구를 모두 포함)에 대한 문항입니 다. 각 문항을 읽고 해당하는 곳에 V표 하세요.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대체로 그렇지 않다 ③ 때때로 그렇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 나는 내가 관심 있어 하는 것들에 대해 친구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고 싶다. 2. 내 친구들은 내가 뭔가에 대해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이를 알아차린다. 3.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 내 친구들은 내 생각을 존중해준다. 4. 친구들과 내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부끄럽고 어리석은 일이다. 5. 나는 지금의 친구들 대신에 다른 친구들을 가졌으면 한다. 6. 내 친구들은 나를 이해한다. 7. 나는 내 친구들과 더 자주 연락을 주고받기를 원한다. 8. 내 친구들은 요즘 내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모른다. 9. 나는 친구들과 같이 있어도 외롭고 혼자라고 느낀다. 10. 내 친구들은 내가 말하는 것에 귀를 기울인다. 11. 나는 뭔가 속마음을 털어놓고 싶을 때 친구들에게 기댈 수 있다. 12. 나는 내 친구들을 믿는다. 13. 나는 내 친구들에게 내 고민과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96 10.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 • 개발자 한미현 • 목적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는 아동이 주위 사람들로부터 받는 도움, 인정, 관심 등에 대해 얼마 나 인지하고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는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참고하여 1차 예비 문항을 수집한 후 타당 화하였다. 본 척도는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친구지지(1~8번 문항), 가족지지(9~16번 문항), 교사지지(17~24번 문항) 등의 3개 하위영역으 로 이루어져 있다. • 대상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1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거나, 하위영역별로 해당 항목들의 점수 를 합하여 사회적 지지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역문항들(2, 9, 19, 20번 문항)의 경우에는 역으로 채점하게 되며, 하위영역별로는 최저 8점에서 최고 40점, 총점은 최저 24점에서 최고 120점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아동이 주위사람들로부터 더 많은 사회 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97 • 출처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98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 다음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가족과 친구, 선생님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여러 분의 생각이나 느낌과 가장 같다고 생각되는 번호에 O표 해주세요. 각 문항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이 5가지로 할 수 있습니다. 문항의 내용이 여러분의 생각과 전혀 다르면, 1에 ① 2 3 4 5 별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면, 2에 1 ② 3 4 5 그런 것도 아니고 아닌 것도 아니면, 3에 1 2 ③ 4 5 약간 그런 편이면, 4에 1 2 3 ④ 5 정말 그렇다고 생각하면, 5에 O표를 합니다. 1 2 3 4 ⑤ 1. 내 친구들은 나를 좋아하는 것 같다. 2. 내 친구들은 나를 따돌리는 것 같다. * 3. 내 친구들은 내 생각이나 말을 잘 들어주는 것 같다. 4. 내게 어려운 일이 생기면 내 친구들은 날 위로해주고 격려해주는 것 같다. 5. 나와 내 친구들은 서로 잘 도와주는 것 같다. 6. 내 친구들은 나에게 관심이 많은 것 같다. 7. 내 친구들은 나와 함께 지내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다. 8. 내 친구들은 나를 잘 이해해주는 것 같다. 9. 우리 가족은 나를 별로 사랑하지 않는 것 같다. * 10. 우리 가족은 서로 많이 도와주는 것 같다. 11. 우리 가족은 나를 잘 이해해주는 것 같다. 12. 우리 가족은 갖고 있는 것들을 서로 나누어 가지는 것 같다. 13. 내가 힘들어 할 때 우리 가족은 내게 힘과 용기를 주는 것 같다. 14. 우리 가족은 내 생각이나 말을 잘 들어주는 것 같다. 15. 우리 가족은 나를 중요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16. 우리 가족은 나에게 관심이 많은 것 같다. 17. 나는 우리 선생님과 친한 것 같다. 18. 우리 선생님은 날 잘 도와주시는 것 같다. 19. 나는 선생님과 이야기하기가 어려운 것 같다. * 20. 우리 선생님은 내 기분을 별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지 않다. * 21. 우리 선생님은 날 좋아하시는 것 같다. 22. 우리 선생님은 나에게 관심이 많으신 것 같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99 23. 내가 아프거나 내게 무슨 일이 생기면 우리 선생님은 날 걱정해 주시는 것 같다. 24. 우리 선생님은 나를 중요한 사람으로 인정해 주시는 것 같다. * 역문항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00 11. 사회적 지지 척도 • 개발자 박현선 • 목적 사회적 지지 척도는 개인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사회적 지지 척도는 Hermandez(1993)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타당화한 것이 며, 사회적 지지는 구체적으로 가족, 친구, 전문가 그리고 교사의 지지로 구성된다. 본 척도 는 총 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4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사회적 지지 척도는 청소년에게 사용하는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사회적 지지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가족 지지의 경우 사전조사 .83, 본조사 .89, 친구 지지의 경우 사전조사 .78, 본조사 .80, 전문가 지지의 경우 사전조사 .82, 본조사 .93, 그리고 교사 지지의 경우 사전조사 .78, 본조사 .85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 이고 있다.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사회적 지지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구하며, 최저 7점부터 최고 28점 사 이의 점수가 산출되는데 점수가 높을수록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 어, 가족 지지의 경우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으로부터 받는 정서적, 물질적, 평가적인 지지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01 • 출처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Hermandez, L. P.(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02 사회적 지지 척도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나를 대하는 태도입니다. 각 사람에게 본인이 느끼는 감정정도를 다음 <보기> 와 같이 모두 표시(V)해 주세요. (‘상담선생님’은 학교의 상담교사나 복지관의 사회복지사, 동사무소의 사 회복지전문요원 등을 의미합니다.) <보기> 내가 필요한 존재임을 깨닫게 해준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족 √ 상담선생님 √ 친구 √ 학교선생님 √ 1. 열심히 공부하라고 격려해준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족 상담선생님 친구 학교선생님 2. 학교에서 어려운 일이 생기면 도와준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족 상담선생님 친구 학교선생님 3. 고등학교에 진학하도록 격려해준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족 상담선생님 친구 학교선생님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03 4. 다른 아이들보다 나에게 더 관심을 보여준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족 상담선생님 친구 학교선생님 5. 수업이나 학교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움말을 준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족 상담선생님 친구 학교선생님 6. 내가 필요로 할 때 자기가 소유한 것들(물건이나 장소)을 빌려준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족 상담선생님 친구 학교선생님 7. 내가 요청할 때마나 기꺼이 시간을 내주고 응해준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지지 정도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족 상담선생님 친구 학교선생님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04 12. 사회적 지지 척도 • 개발자 김인숙 • 목적 사회적 지지 척도는 개인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사회적 지지 척도는 박지원(1985)이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을 통해 개발한 척도 내에서 ‘간 접적으로 지각한 지지 척도’를 기준으로 재구성하여 타당화한 것이다. 원래 박지원의 척도 는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그리고 평가적 지지 등의 4개 하위영역,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으나, 김인숙 연구의 사전조사 결과 4개의 지지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났 다. 따라서 평가적 지지에 해당되는 문항과 다른 문항들과의 상관관계가 지나치게 낮은 문 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16개 문항만을 사용하였다.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사회적 지지 척도는 성인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사회적 지지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사전조사 .9867, 본조사 .9767의 매우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기준관련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사회적 지지 척도는 각 문항 당 6개의 지지출처가 있으며, 각 지지출처마다 지지에 대한 지 각 점수를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따라서 한 문항에서 최저 6점에서 30점 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며, 16문항 총점의 범위는 최저 96점에서 최고 480점까지이다.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사회적으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05 • 출처 김인숙(1994). 빈곤여성의 사회적 환경요인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06 지지의 출처(근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명) 가족(남편, 자녀, 부모(시부모 포함)) 형제 혹은 친척 친구 이웃사람 성직자 혹은 일반 종교인 사회복지기관 및 상담기관 종사자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전문요원, 상담자) 총 ( )명 번호 주변의 지지자들에 대한 지각 지지에 대한 지각 지지의 출처 가족 친척 친구 이웃 종교 전문인 1 그들은 내가 사랑과 돌봄을 받고 있 다고 느끼게 해준다. 1 2 3 4 5 2 그들은 내가 필요로 하면 아무리 큰 돈이라고 마련해주다. 1 2 3 4 5 3 그들은 함께 있으면 친밀감을 느끼게 해준다. 1 2 3 4 5 사회적 지지 척도 사회적 지지원 일상생활에 스트레스를 주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경험하게 되었을 경우, 귀하에게 도움을 주거나 또는 귀하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람이 주위에 얼마나 되는지를 응답해 주십시오. 여기서 도움이란 물질 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귀하께 정서적인 지지를 해주거나 귀하의 존재를 인정해주는 것, 그리고 문제해결 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 등을 의미합니다. 앞에서 여러 가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에 대해 귀하는 전반적으로 어떻게 느끼고 있습니까? 각 문항을 읽으신 후 귀하의 의견과 가장 일치되는 곳에 ○표해 주십시오. 먼저 전체적으로 응답하고 다음에 지지의 출처별로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들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은 다음의 5가지 로 구분됩니다. 지지의 출처별을 기입할 때는 해당 번호만 기입하여 주십시오. • 범주 ① 거의 그렇지 않다고 느낀다 ② 약간 그렇다고 느낀다 ③ 보통 그렇다고 느낀다 ④ 많이 그렇다고 느낀다 ⑤ 아주 많이 그렇다고 느낀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07 4 그들은 배울 점이 많은 존경할 만한 사람들이다. 1 2 3 4 5 5 그들은 자신이 직접 도움을 줄 수 없 을 때는 다른 사람을 보내서라도 나 를 돕는다. 1 2 3 4 5 6 그들은 내가 마음 놓고 의지할 수 있 는 사람들이다. 1 2 3 4 5 7 그들은 내가 잘했을 때는 칭찬을 아 끼지 않는다. 1 2 3 4 5 8 그들은 무슨 일이건 대가를 바라지 않고 최선을 다해 나를 도운다. 1 2 3 4 5 9 그들은 내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현명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준다. 1 2 3 4 5 10 그들은 항상 나의 일에 관심을 갖고 걱정해준다. 1 2 3 4 5 11 그들은 내가 결단을 못 내리고 망설 일 때 결단을 내리게 자극, 용기를 준다. 1 2 3 4 5 12 그들은 내가 현실을 이해하고 사회생 활에 적응할 수 있게 충고해준다. 1 2 3 4 5 13 그들은 내게 생긴 문제의 원인을 찾 아내는 데도 도움 되는 정보를 제공 해준다. 1 2 3 4 5 14 그들은 내가 몸져누워 있을 때 일을 대신해준다. 1 2 3 4 5 15 그들은 내가 어떤 선택을 해야할 때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게 조언 해준다. 1 2 3 4 5 16 그들은 내가 기분 언짢아 할 때 내 감정을 이해하고 기분을 전환시켜주 려고 노력한다. 1 2 3 4 5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08 13. 삶의 만족 척도 • 개발자 양옥경 • 목적 삶의 만족 척도는 삶의 만족 정도를 포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삶의 만족 척도는 의․식․주와 같은 기본적인 생활의 형태에서부터 인생의 철학에 이르는 추상적 개념까지 전반적인 삶의 만족을 모두 포괄한다. 본 척도는 총 3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33문항은 크게 의식주 영역, 친구관계 영역, 가족 및 친척 관계 영역, 신체 및 정신건강 영역, 일(직업) 영역, 경제 영역, 대인관계 영역, 사회생활 및 여가활동 영역, 행복감 영역, 자율성 및 자아감 영역 등의 10개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 대상 삶의 만족 척도는 대학생 이상의 성인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검사-재검사의 방법을 통해 α값이 1차 검사 때는 .9143, 2차 검사 때는 .9321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검사-재검사에서 .9557의 상관관계를 보여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를 갖춘 것으로 볼 수 있다. 타당도에서도 개념타당 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삶의 만족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구하고, 역문항들(14, 15번 문항)의 경 우에는 역으로 채점한다. 최저 33점부터 최고 165점 사이의 점수가 산출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삶의 만족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09 • 출처 양옥경(1996). 지역사회 정신건강. 나남출판. 양옥경(1994). 삶의 만족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제24권. 157-198.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10 삶의 만족 척도 아래 33문항은 당신이 현재 생활에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관한 질문입니다. 각 문항을 잘 읽고 지금 이 시간 당신의 생활에 대한 느낌의 정도를 아래의 5점 척도 중에 골라주십시오. • 범주 ① 거의 혹은 전혀 그렇지 않다 ② 조금 그렇다 ③ 때때로 그렇다 ④ 상당히 그렇다 ⑤ 거의 혹은 항상 그렇다 1. 당신은 현재 살고 있는 곳에 만족하십니까? 2. 현재 살고 있는 곳에서 당신의 사생활보장 정도에 만족하십니까? 3. 현재 살고 있는 곳에서 당신만이 사용하는 공간에 만족하십니까? 4. 당신이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에 만족하십니까? 5. 당신이 일상적으로 입는 옷에 만족하십니까? 6. 당신이 사귀는 친구들의 수에 만족하십니까? 7. 당신은 당신이 바라는 만큼 친구들과 가깝다고 느끼십니까? 8. 당신은 당신의 친구들과 같이 지내는 시간에 만족하십니까? 9. 당신은 이성 친구 혹은 배우자와의 관계에 만족하십니까? 10. 당신은 당신이 바라는 만큼 가족과 가깝다고 느끼십니까? 11. 당신은 가족들과의 관계에 만족하십니까? 12. 당신은 친척들과의 관계에 만족하십니까? 13. 당신은 요즈음 심리적 상태에 만족하십니까? 14. 전반적으로 현재 생활을 고려해볼 때 당신은 당신이 겪고 있는 문제로 인해 곤란하십니까? * 15. 당신의 그러한 문제들이 자주 당신이 하고 싶어 하는 일을 하지 못하도록 방해합니까? * 16. 당신은 요즘 신체건강 상태에 만족하십니까? 17. 당신은 요즘 정신건강 상태에 만족하십니까? 18. 당신은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19. 당신은 당신이 하고 싶은 만큼 일하고 있다고 느끼십니까? 20. 당신은 현재 당신의 한 달 수입에 만족하십니까? 21. 당신은 현재 당신의 하루 생활비 지출정도에 만족하십니까? 22. 당신은 주변사람들이나 일터에서 동료들과의 관계에 만족하십니까? 23. 당신은 일반적으로 사람들과의 관계에 만족하십니까? 24. 당신은 현재 사회생활에 만족하십니까? 25. 당신은 요즘 하루를 보내는 방법에 만족하십니까? 26. 당신은 요즘 당신이 하시는 여가활동에 만족하십니까?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11 27. 당신은 요즘 저녁시간이나 주말을 보내는 방법에 만족하십니까? 28. 당신은 현재의 삶에 만족하십니까? 29. 당신은 현재 행복하십니까? 30. 당신은 당신 자신의 삶에서 기쁨을 얻고 있다고 느끼십니까? 31. 당신은 당신이 원하는 만큼 자유가 있다고 느끼십니까? 32. 당신은 당신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끼십니까? 33. 당신은 전반적으로 당신 자신에게 만족하십니까? * 역문항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12 14. 수용성 척도 • 번안자 이지수 • 목적 수용성 척도는 일반아동이 갖는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수용성 척도는 Voeltz(1980, 1982)가 장애아동이 통합되어 있는 학교에서 일반아동의 장애아 동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처음 고안하였으며, 연구자가 이를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 당도 검사를 하였다. 본 척도는 일반적인 사회적 접촉의 의지(6, 8, 10, 13, 16번 문항), 편견 에 찬 대응행동(3, 4, 7, 9, 11, 18, 19번 문항), 정신지체 아동에 대한 실제적인 접촉 행동(2, 15, 17번 문항), 그리고 휠체어 사용 아동에 대한 실제적인 접촉 행동(5, 20번 문항) 등의 4 개 하위영역,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에 대한 응답은 예, 잘 모름, 아니오의 3 점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수용성 척도는 일반아동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국내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수용성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은 .79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였으 며, 타당도의 경우 내용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수용성 척도는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2점, 중간적 태도는 1점, 부정적 태도는 0점 으로 평가하고, 역문항들(1, 3, 4, 7, 9, 11, 12, 14, 18, 19번 문항)의 경우에는 역으로 채점한 다.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구하는데, 총점은 최저 0점에서 최고 40점까지의 범 위를 갖게 되고,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성이 크다는 것을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13 의미한다. • 출처 이지수(2002). 장애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지지적 학교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Voeltz, L. M.(1980).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Peer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4(5), 455-464. Voeltz, L. M.(1982). Effects of Structured Interactions with Severly Handicapped Peers on Children's Attitud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6(4), 380-390.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14 1. 아무 이유 없이 우는 아이는 바보라고 불러도 된다.* 예 잘 모름 아니오 2. 나는 정신지체 어린이(생각주머니가 작은 어린이)와 친구가 되었다. 예 잘 모름 아니오 3. 나는 사시인 사람(눈의 초점이 맞지 않는 사람)과 이야기 할 때 당황 하게 된다.* 예 잘 모름 아니오 4. 나는 장애 어린이에게는 인사를 건네지 않는다.* 예 잘 모름 아니오 5. 나는 휠체어 탄 어린이를 도와준다. 예 잘 모름 아니오 6. 나는 장애 어린이와 함께 놀고 싶다. 예 잘 모름 아니오 7. 혼잣말을 많이 하는 아이는 무섭다. 그런 아이와는 가까이 지내고 싶 지 않다.* 예 잘 모름 아니오 8. 우리 반도 특수학급(장애 어린이가 공부하는 반)이 캠프를 가는 같은 기간에 같은 장소로 캠프를 가면 좋겠다. 예 잘 모름 아니오 9. 장애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나와 같은 반이어서는 안 된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0. 나는 특수반에 있는 아이들과도 좋은 친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1. 만약 내게 장애를 가진 형제가 있다면, 나는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을 것이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2. 만약 어떤 아이가 무엇을 잘 못하거나 틀리게 하면 바보 소리를 들을 수도 있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3. 나는 장애 어린이를 친구로 사귀고 싶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4. 우리 반에 수학과 쓰기를 잘 못하는 아이가 많이 있으면, 그 아이들 때문에 내가 선생님과 같이 있을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 것이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5. 나는 정신지체 어린이(생각주머니가 작은 어린이)와 운동장에서 함께 논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6. 텔레비전에 장애인에 대한 프로그램이 나온다면 나는 가능한 한 그것 을 볼 것이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7. 나는 우리 학교에 다니는 정신지체 어린이(생각주머니가 작은 어린이) 와 이야기를 나눈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8. 잘 알아들을 수 없게, 이상하게 이야기하는 아이들은 학교 활동에서 나와 같은 조에 들어오면 안 된다.* 예 잘 모름 아니오 19. 장애 어린이는 보통 아이들과 같은 학교에 다녀서는 안 된다.* 예 잘 모름 아니오 20. 나는 휠체어에 앉아 있는 어린이와 이야기를 나눈다. 예 잘 모름 아니오 수용성 척도 • 범주 예 / 잘 모름 / 아니오 * 역문항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15 15.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 개발자 한미현ㆍ유안진 • 목적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아동이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 레스의 유형 및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는 형제와의 다툼, 친구 혹은 선생님과의 갈등, 학습 환경, 그 리고 부모님과의 관계 등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들이 전형적으로 겪는 일상적 문제들을 측 정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본 척도는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3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42문항은 크게 부모관련 스트레스(1~8번 문항), 가정환경관련 스트레스 (9~15번 문항), 친구관련 스트레스(16~22번 문항), 학업관련 스트레스(23~29번 문항), 교사 및 학교관련 스트레스(30~36번 문항), 그리고 주변환경관련 스트레스(37~42번 문항) 등의 요 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상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는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85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구성타당도와 동시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거나, 하위영역별로 해당 항목들의 점수를 합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최저 42점부터 최고 126점 사이의 점수가 산출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스트레스의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16 • 출처 한미현ㆍ유안진(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제33권. 제4호. 49-64.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17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약간 그런 편이다 ③ 매우 그렇다 1. 나는 부모님이 늘 공부하라고 말씀하셔서 짜증이 난다. 2. 부모님이 내 생각이나 의견을 존중해주지 않아 불만이다. 3. 부모님이 나에게 시키는 일이 많아 피곤하다. 4. 부모님이 나의 일에 지나치게 간섭하고 참견하셔서 짜증이 난다. 5. 부모님이 내 성적에 너무 신경 쓰셔서 부담스럽다. 6. 나는 부모님과 충분한 이야기를 나누지 못해 불만이다. 7. 내가 갖고 싶어 하는 것들을 부모님이 잘 사주지 않아 불만이다. 8. 부모님이 내게 거는 기대와 요구가 커서 부담스럽다. 9. 우리 가족은 그다지 화목한 편이 못되어 속상하다. 10. 가족들이 나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아 불만이다. 11. 우리 집이 가난해서 속상하다. 12. 나는 필요한 물건들을 제대로 살 수 없어 속상하다. 13. 나는 집이 좁아서 속상하다. 14. 우리 집 분위기가 마음에 안 든다. 15. 나는 부모님이 자주 다투셔서 속상하다. 16. 친구들이 나를 따돌리는 것 같아 속상하다. 17. 친구들이 나를 무시하는 것 같아 속상하다. 18. 나는 친구들과 마음껏 어울리지 못해 불만이다. 19. 내가 좋아하는 친구가 나보다 다른 아이를 더 좋아해 속상하다. 20. 나는 친구들과 이야기가 통하지 않아 불만이다. 21. 친구들이 나를 놀려 화가 난다. 22. 나는 마음에 맞는 친구가 없어서 속상하다. 23. 나는 학업성적 때문에 신경이 많이 쓰인다. 24. 나는 시험을 볼 때마다 초조하고 긴장이 된다. 25. 나는 다니고 있는 학원이나 과외활동이 많아 힘들다. 26. 열심히 노력해도 성적이 잘 오르지 않아 걱정된다. 27. 앞으로 해야 할 공부를 생각하면 걱정이 앞선다. 28. 내가 장차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고민된다. 29. 대학에 못 들어가면 안 된다는 생각에 벌써 걱정이 된다. 30. 선생님이 몇몇 학생만을 편애하는 것 같아 불만이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18 31. 나는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힘들다. 32. 나는 선생님의 수업방식이 마음에 안 든다. 33. 숙제가 많아 부담스럽다. 34. 학교에서 나보다 힘센 친구들이 괴롭혀서 속상하다. 35. 선생님이 다른 아이들 앞에서 창피를 주곤 해 불만이다. 36. 나는 교실이나 화장실 등 학교시설을 이용하는 데 불편을 느낀다. 37. 나는 학교에 오고가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려 짜증스럽다. 38. 버스나 전철이 복잡해서 짜증이 난다. 39. 나는 우리 동네가 싫다. 40. 주위가 시끄러워 공부하는 데 방해가 된다. 41. 차가 너무 막혀 짜증스럽다. 42. 학교가 멀어서 다니기가 힘들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19 16. 자기유능감 척도 • 개발자 박현선 • 목적 자기유능감 척도는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자신의 유능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자기유능감 척도는 Rosenberg(1979)의 자존감 척도, Hermandez(1993)의 유능감 척도, 그리 고 Sherer 등(1982)의 자기유능감 척도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타당화한 척도이다. 본 척도는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4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자기유능감 척도는 청소년 및 성인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자기유능감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사전조사 .78, 본조사 .82로 적절한 수준 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자기유능감 척도의 총점은 최저 6점부터 최고 24점 사이의 범위를 갖게 되며, 점수가 높을 수록 자신의 능력 혹은 성취감에 대한 자신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출처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ermandez, L. P.(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Sherer, M., Maddox, J. E., Mercam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and Rogers, R.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20 W.(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21 자기유능감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거의 그렇지 않다 ③ 가끔 그렇다 ④ 매우 그렇다 1. 나는 대체로 나 자신의 능력에 만족한다. 2. 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능력을 가지고 있다. 3. 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4. 나는 재주가 많다고 생각한다. 5.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의지가 강하다. 6. 나는 처음에 못할지라도 잘할 때까지 열심히 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22 17. 자기효능감 척도 • 번안자 신영화 • 목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 수준 및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 다. • 척도소개 자기효능감 척도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대인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 기 위해 Sherer 등(1982)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번역한 것이 다. 본 척도는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자기효능감 척도는 정신건강 현장의 클라이언트 및 일반 성인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 다. • 국내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86으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자기효능감 척도는 모든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는데, 7개의 문항들(1, 5, 9, 13, 17, 21, 25번 문항)은 허위 문항으로서 점수를 계산하지 않으며, 역문항들(3, 6, 7, 8, 11, 14, 18, 20, 22, 24, 26, 29, 30번 문항)의 경우에는 역으로 채점한다. 본 척도는 최저 23점부터 최고 115점 사이의 점수가 산출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23 • 출처 신영화(1999). 학대받는 아내의 능력고취를 위한 집단사회사업실천의 효과성.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Sherer, M., Maddox, J. E., Mercam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and Rogers, R. W.(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24 자기효능감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거의 그렇지 않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 나는 화초 기르기를 좋아한다. 2. 계획을 세울 때 그것을 잘 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3. 내 문제 가운데 하나는 시작해야 했을 때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4. 처음에 잘 되지 않은 일은 잘 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 노력한다. 5. 유전은 사람의 성격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게 어렵다.* 7. 스스로 중요한 목표를 세우면 그것을 거의 이루지 못한다.* 8. 일을 마치기 전에 포기한다.* 9. 나는 요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10. 만나고 싶은 사람이 있으면 기다리기보다 내가 먼저 간다. 11. 어려움은 피한다.* 12. 복잡해 보이는 일을 시도하는 것을 귀찮아하지 않는다. 13. 누구에게나 장점이 있다. 14. 친구로 사귀기 어려운 사람에게 호감을 느껴도 친구가 되는 것을 이내 포기한다.* 15. 불쾌한 일을 하게 되더라도 마칠 때까지 매달린다. 16. 무엇을 하기로 결심하면 곧장 시작한다. 17. 나는 과학을 좋아한다. 18. 새로운 것을 배울 때, 나는 원래 잘 하는 것이 아니면 잘 포기한다.* 19. 처음에 관심이 없던 사람도 사귀기로 마음먹으면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20. 예기치 않은 문제가 생기면 잘 다루지 못한다.* 21. 내가 화가라면 아이들을 그리고 싶다. 22. 어려워 보이는 새로운 것은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23. 실패는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든다. 24. 사교 모임에서 나는 어쩔 줄 몰라 한다.* 25. 나는 승마를 좋아한다. 26. 나는 일을 해결하는 내 능력이 불안하다.* 27. 나는 자립적인 사람이다. 28. 나는 일보다 사람 사귀는 능력으로 친구들을 사귄다. 29. 나는 포기를 잘 한다.* 30. 나는 인생의 대부분의 일을 잘 해내지 못한 것 같다. * * 역문항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25 18.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s: CPIC) • 개발자 Grych and Fincham • 목적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는 아동의 관점에서 부부갈등의 다양한 차원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는 9개 하위척도에 51문항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9개 하위척도 의 내적합치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삼각관계, 안정성, 그리고 내용 차원에서 한 문항씩 모 두 3개 문항이 제외되어 4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에 대한 점수는 ‘그렇다’는 2점, ‘약 간 그렇다’는 1점, ‘그렇지 않다’는 0점으로 평가한다. • 대상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는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원문의 신뢰도 및 타당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요인별로 .78~.90의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에서도 .68~.76의 상관관계를 보여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를 갖춘 것으로 볼 수 있다. 타당도에서도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국내타당화 및 적용 권영옥과 이정덕(1997)의 연구에서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를 번역하여 타당화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9개 하위척도 중 안정성 척도의 α값이 .32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안정성 척도 4문항을 제외한 후 44문항만을 가지고 다시 신뢰도 검사를 한 결과 평균 α값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26 이 요인별로 .79~.86의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였으며,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에서 도 .68~.76의 상관관계를 보여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를 갖춘 것으로 볼 수 있다. 타당도에서 도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각 문항에 대한 점수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그렇다’는 2점, ‘약간 그렇다’는 1점, ‘그렇지 않다’는 0점으로 평가하고, 역문항들(1, 2, 5, 8, 12, 18, 22, 26, 27, 35, 38, 47번 문항)의 경우에는 역으로 채점한다. 총점은 최저 0점에서 최고 88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자녀가 지각하는 부부의 갈등 정도가 크고, 각 하 위척도별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시된 척도는 권영옥ㆍ이정덕(1997)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이다. • 출처 권영옥ㆍ이정덕(1997).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척도(CPIC)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제18 권. 제1호. 65-80. Grych J. H. and Fincham, F. D. (1992). Assessing Marital Conflict from the Child's Perspective: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hild Development, 63, 558-572.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27 하위척도 번호 문항 부부갈등의 빈도 1 나는 우리 부모님이 다투거나 의견이 맞지 않는 것을 본 적이 없다. * 9 우리 부모님은 내가 모른다고 생각하겠지만 자주 다투시거나 의견이 맞지 않으시다. 14 우리 부모님은 내가 옆에 있더라도 자주 서로에게 나쁘게 하신다. 17 나는 부모님이 다투시는 것을 자주 본다. 26 우리 부모님은 거의 다투시지 않는다. * 34 우리 부모님은 집안에서 서로에게 자주 잔소리와 불평을 하신다. 강도 4 우리 부모님은 다투실 때 굉장히 화를 많이 내신다. 12 우리 부모님은 의견이 맞지 않으실 때 조용히 의논하신다. * 21 우리 부모님은 다투실 때는 서로에게 나쁜 말이나 욕을 하신다. 30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는 큰소리를 많이 지르신다. 35 우리 부모님은 의견이 맞지 않으실 때 서로에게 소리를 지르시는 적이 거의 없다. * 37 우리 부모님은 다투시는 중에 물건을 부수거나 던진 적이 있다. 42 우리 부모님은 다투시는 도중 서로 밀치거나 떠민 적이 있다. 해결 2 우리 부모님이 다투시면 보통 잘 해결이 된다. * 10 우리 부모님은 다투신 후에도 서로에게 화를 풀지 못하신다. 18 우리 부모님은 어떤 일에 의견이 맞지 않을 때 대부분 해결책을 찾아내신다. * 27 우리 부모님은 다투신 후 보통 금방 사이가 좋아지신다. * 38 우리 부모님은 다투신 후에도 서로에게 다정하시다. * 45 우리 부모님은 다투고 난 후에도 여전히 서로에게 나쁘게 하신다. 내용 3 우리 부모님은 나의 학교일 때문에 자주 다투게 된다. 19 우리 부모님은 보통 내가 한 일에 대해서 다투신다. 28 우리 부모님은 평소에 내가 하는 일 때문에 다투시거나 의견이 맞지 않는다. 36 우리 부모님은 내가 무엇을 잘못했을 때 종종 다투시게 된다. 지각된 위협 6 나는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겁이 난다. 15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나는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 걱정한다. 23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면 나는 나쁜 일이 일어날까봐 두렵다. 32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엄마나 아빠가 다치실까봐 걱정된다. 39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나에게도 소리를 지르실까봐 두렵다. 44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이혼을 하실까봐 나는 두렵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s, CPIC) • 범주 ① 그렇지 않다(0점) ② 약간 그렇다(1점) ③ 그렇다(2점)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CPIC)>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28 대처 효율성 5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나는 나의 기분이 좀 나아지도록 무언가 할 수 있다. * 13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나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22 우리 부모님이 다투시거나 의견이 맞지 않을 때 나는 대부분 일이 잘 되도록 도울 수 있다. * 31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나는 부모님이 그만 하시도록 할 수가 없다. 43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나는 나 자신의 기분이 나아지도록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48 우리 부모님은 다투실 때 내가 말하는 것은 전혀 듣지 않으신다. 자기비난 8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그것은 내 탓이 아니다. * 16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그것은 흔히 내 탓이다. 25 부모님이 말하시지 않아도 나는 우리 부모님이 다투시는 것이 내 탓임을 안다. 40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내 탓이라고 하신다. 47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보통 그것은 내 탓이 아니다. * 삼각관계 7 우리 부모님이 다투실 때 나는 부모님 사이에 낀 것 같아 난처하다. 24 우리 엄마는 아빠와 다투실 때 내가 엄마 편을 들기 원하신다. 33 나는 우리 부모님의 의견이 서로 맞지 않을 때 어느 한쪽 편을 들기 원하신다. 41 우리 아빠는 엄마와 다투실 때 내가 아빠 편을 들기 원하신다. 부부갈등의 안정성 11 우리 부모님은 서로 행복하지가 않아서 다투신다. 20 우리 부모님이 다투시는 이유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 29 우리 부모님은 서로 진심으로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다투신다. 46 우리 부모님은 서로 사이좋게 지내시는 방법을 몰라서 다투신다. <제외된 문항> * 역문항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29 19. 자녀양육효능감 척도 • 개발자 최형성 • 목적 자녀양육효능감 척도는 자녀를 바람직하게 양육하기 위해 필요한 부모의 역할수행능력에 대한 부모 자신의 신념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자녀양육효능감 척도는 여러 외국 척도들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개발하여 타당 화한 것으로서 전반적인 양육 능력(1~11번 문항),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12~18번 문항), 의사소통 능력(19~27번 문항), 학습지도 능력(28~33번 문항), 훈육 능력(34~37번 문항) 등의 5개의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척도는 총 3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5까지 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자녀양육효능감 척도는 초등학교 아동을 둔 부모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자녀양육효능감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2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적절한 수준의 안면타당도와 동시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자녀양육효능감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거나, 하위영역별로 해당 항목들의 점수를 합하여 자녀양육효능감을 평가할 수 있다. 총점은 최저 37점에서 최고 185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긍정적인 자녀양육효능감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30 • 출처 최형성(200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31 자녀양육효능감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 나는 부모로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2. 나는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3. 나는 다른 부모에게 자녀양육에 관한 도움을 줄 수 있다. 4. 나는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5. 나는 다른 부모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 6. 나는 아이를 잘 지도할 수 있다. 7. 나는 부모역할에 잘 적응하고 있다. 8. 나는 아이가 올바른 가치관을 갖도록 모범을 보이고 있다. 9. 나는 아이에게 가능한 한 최상의 양육을 제공하여 왔다. 10. 나는 부모로서 해야 할 일을 잘 하고 있다. 11. 나는 아이를 일관성 있게 훈육할 수 있다. 12. 나는 아이의 건강에 신경을 쓴다. 13. 나는 아이를 튼튼하게 키울 수 있다. 14. 나는 아이가 운동에 관심을 갖도록 지도한다. 15. 나는 아이가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갖도록 지도한다. 16. 나는 아이가 건강한 생각을 갖도록 지도한다. 17. 나는 아이가 방과 후 좋은 활동(음악, 운동, 봉사활동 등)에 참여하게 할 수 있다. 18. 나는 아이에게 운동경기의 규칙을 가르쳐 줄 수 있다. 19. 나는 아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20. 나는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다. 21. 나는 아이가 하는 말을 잘 들어줄 수 있다. 22. 나는 아이에게 자유롭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리를 주고 있다. 23. 나는 아이가 짜증을 내는 일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24. 내가 이야기 하는 동안 아이가 내 말에 귀 기울이게 할 수 있다. 25. 나는 아이가 잘못된 생각이나 행동을 했을 때 그 점을 깨달을 수 있도록 설명하고 지도할 수 있 다. 26. 나는 내 아이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 27. 나는 아이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잘 다룰 수 있다. 28. 나는 아이의 학습을 지도할 수 있다. 29. 나는 아이의 성적이 높아지도록 집에서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32 30. 나는 아이에게 유익한 책들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다. 31. 나는 아이가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에 관심을 갖고 지도할 수 있다. 32. 나는 아이의 방과 후 일과를 관리할 수 있다. 33. 나는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해 줄 수 있다. 34. 나는 아이가 학교에서 말썽부리지 않도록 지도할 수 있다. 35. 나는 아이가 나쁜 친구들과 사귀지 않도록 지도할 수 있다. 36. 나는 아이가 위험지역이나 외진 곳에 가지 않도록 지도할 수 있다. 37. 나는 아이가 집 밖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33 20. 자아정체성 척도 • 개발자 조학래 • 목적 자아정체성 척도는 개인의 자아정체성 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자아정체성 척도는 선행연구의 자아정체성 척도를 참고로 연구자가 구성한 것이다. 본 척도 는 독특성(1, 4, 20, 24, 27번 문항), 미래계획(2, 8, 13, 25번 문항), 사회성(5, 11, 16, 18번 문 항), 자기수용(10, 17, 23, 26번 문항), 자율성(3, 6, 15, 21번 문항), 적응력(9, 14, 19번 문항), 가치(7, 12, 22번 문항) 등의 7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자아정체성 척도는 청소년 이상 성인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자아정체성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27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 며, 타당도에서도 적절한 수준의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자아정체성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거나, 하위영역별로 해당 항목들의 점수를 합하 여 자아정체성의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역문항들(2, 4, 6, 8, 10, 11, 14, 15, 17, 18, 20, 21, 23, 26번 문항)의 경우에는 역으로 채점하게 되며, 총점은 최저 27점에서 최고 135점까 지의 범위를 갖게 된다. 본 척도는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자아정체성의 발달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34 • 출처 조학래(1996).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 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35 자아정체성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대체로 그렇지 않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 나에게는 나를 특징지어주는 독특한 면이 있다. 2. 나는 무슨 일을 하며 살아갈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 3. 경험하지 않았던 일이 닥쳐도 나는 두렵지 않다. 4. 나는 남들로부터 개성이 없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 5. 나에게는 진정한 친구들이 있다. 6. 나에게는 일관된 목표를 세우고 실행하는 면이 부족하다. * 7. 갑작스럽고 커다란 사회의 변화를 나름대로 해석할 수 있다. 8. 나의 미래상은 때에 따라 바뀐다. * 9. 나는 어떤 면에서는 다른 사람보다 능력이 있다. 10. 나는 어떤 행동을 하고나서 내가 한일에 대해 후회할 때가 많다. * 11. 나는 친하지 않은 사람들과 있으면 거북하다. * 12. 나는 외부적인 변화에 대해 흔들리지 않는다. 13. 나는 장래에 어떤 일을 하면서 살아갈지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았다. 14. 내가 앞으로 무슨 직업을 갖게 되건 관심 없다. * 15. 나 스스로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이 어렵다. * 16. 어떤 모임에 처음 나가서 자기 소개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17. 내가 다른 환경에서 성장했다면 하는 생각이 든다. * 18. 나는 사람을 사귀는 데 까다롭다. * 19. 다른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나도 할 수 있다. 20. 내게는 남다른 경험이 없다. * 21. 나는 어떤 일을 하고 싶어도 선뜻 실행하지 못한다. * 22. 나는 생활 속에서 겪는 사건들을 판단하는 일관된 기준을 가지고 있다. 23. 나는 일생을 어떻게 살아갈지 걱정이 많다. * 24. 다른 사람들이 내게 관심을 가져준다. 25. 나에게는 평생을 바쳐 하고 싶은 일이 있다. 26. 내가 보잘 것 없는 존재같이 느껴진다. * 27. 나에게는 나름대로의 매력이 있다. * 역문항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36 21. 자아존중감 척도 • 개발자 최보가ㆍ전귀연 • 목적 자아존중감 척도는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자아존중감 척도는 Coopersmith(1967)와 Pope 등(1988)의 연구를 토대로 아동의 자아존중감 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다. 본 척도는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체적 자 아존중감(1, 5, 9, 13, 17, 21번 문항), 사회적 자아존중감(2, 6, 10, 14, 18, 22, 25, 28, 31번 문 항),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3, 7, 11, 15, 19, 23, 26, 29, 32번 문항), 그리고 학교에서의 자아 존중감(4, 8, 12, 16, 20, 24, 27, 30번 문항) 등 4개의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1에서 5 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자아존중감 척도는 초등학생 및 중학생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자아존중감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α값은 하위영역별로 총체적 자아존중감 .69, 사회적 자아존중감 .84,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83,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72로 적절한 수준의 내 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자아존중감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거나, 하위영역별로 해당 항목들의 점수를 합하 여 자아존중감을 평가할 수 있으며, 역문항들(4, 8, 12, 16, 20, 24, 27, 30번 문항)의 경우에 는 역으로 채점하면 된다. 본 척도의 총점은 최저 32점에서 최고 160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고,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자아존중감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37 • 출처 최보가ㆍ전귀연(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Ⅰ).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 제2 호. 41-54.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Pope, A. W., McChale, S. M., and Craighead, W. E.(1988). Self-Esteem Enhance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Pergamon Press.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38 자아존중감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약간 그런 것 같다 ③ 보통 그렇다 ④ 대부분 그렇다 ⑤ 정말로 내 경우와 같다 1. 나는 결심을 하고 그 결심대로 밀고 나갈 수 있다. 2. 나는 내 또래의 친구들 사이에 인기가 있다. 3. 부모님은 내 기분을 잘 맞춰 주신다. 4. 나는 학교에서 실망하는 일이 가끔 있다. * 5. 나는 나에게 주어진 일에 취선을 다하려 한다. 6. 나에겐 친구가 많다. 7. 부모님은 나를 잘 이해해주신다. 8. 내가 원하는 만큼 학교생활이 원만치 않다. * 9. 나는 주저하지 않고 결심할 수 있다. 10. 누구든지 나를 좋아한다. 11. 나는 집에서 상당히 행복하다. 12. 나는 학교에서 가끔 화날 때가 있다. * 13. 내 문제는 주로 내가 해결할 수 있다. 14. 나와 함께 있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좋아한다. 15. 나는 부모님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많이 가진다. 16. 선생님은 나를 착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다. * 17. 나는 나 자신을 잘 알고 있다. 18. 나는 남을 재미있게 해주는 사람이다. 19. 나는 가족들과 함께 있을 때 기분이 좋다. 20. 나는 학교 성적에 실망이 든다. * 21.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 22. 나는 남에게 좋은 친구이다. 23. 우리 가족은 이 세상에서 제일 훌륭하다. 24. 나는 학교에서 하는 일이 서툴다. * 25. 내 친구들은 내 생각을 귀담아 들어준다. 26. 나는 좋은 아들(딸)이다. 27. 내가 좀 더 나은 학생이면 좋겠다. * 28. 친구들은 주로 내 생각을 따른다. 29. 부모님이 나를 자랑스러워하실 만하다. 30. 선생님이 설명하실 때 내가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면 좋겠다. * 31. 나는 원하면 항상 친구를 사귈 수 있다. 32. 나는 우리 가족 중 중요한 사람이다. * 역문항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39 22. 자아존중감 척도(index of self-esteem: ISE) • 개발자 Hudson • 목적 자아존중감 척도는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자아존중감 척도는 WALMYR Assessment Scale에 있는 척도 중의 하나로서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 정도, 심각성, 또는 크기를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척도 는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7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자아존중감 척도는 성인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원문의 신뢰도 및 타당도 자아존중감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3으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 으며, 2시간 간격의 검사-재검사 상관관계는 .92로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타당도에서는 높 은 기지(旣知)집단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자아존중감 척도는 우선 역문항들(3, 4, 5, 6, 7, 14, 15, 18, 21, 22, 23, 25번 문항)을 채점하 고, 그 점수를 역으로 계산하여 합산한다. 그리고 이 합산된 점수에서 응답이 이루어진 역문 항들의 수를 뺀 이후 100을 곱한다. 마지막으로 이 점수를 응답이 이루어진 역문항들의 수 에 6을 곱한 수로 나눈다. 결과적으로 최저 0부터 최고 100 사이의 점수가 산출되는데, 점수 가 높을수록 가족 문제의 크기와 심각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존중감 척도에는 두 가지 기준 점수가 있는데, 하나는 30±5점을 기준으로 그 이하의 점수는 임상적으로 유의미 한 문제가 없음을 의미하고, 반대로 그 이상의 점수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문제가 있음을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40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70점을 기준으로 이 이상의 점수가 나올 경우 대부분의 클라이언트 가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유형의 폭력 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점수계산의 예시 만약 A라는 사람이 역문항(3, 4, 5, 6, 7, 14, 15, 18, 21, 22, 23, 25번 문항)인 12문항 모두를 1번으로 응답했다면 이 경우에는 1점의 역점수인 7점이 총 12개가 되는 셈이다. 따라서 84 점의 점수를 얻게 된다. 이제 이 84점에서 응답이 이루어진 역문항들의 수인 12를 빼고 그 점수에 100을 곱한다. 그러면 (84-12) × 100 = 7200의 점수가 나온다. 마지막으로 이 7200을 응답이 이루어진 역문항들의 수인 12에 6을 곱한 수로 나눈다. 그러면 7200 ÷ (12 × 6) = 100이 나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A의 점수는 100점이고 현재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국내타당화 및 적용 신성화(1999)의 연구에서 Hudson(1982)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index of self-esteem: ISE) 를 번역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를 거쳐 사용하였다. 평균 α값은 .93으로 높은 내적 일 관성을 보였으며, 타당도의 경우 전문가 30인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제시된 척도 는 신성화(1999)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이며, 문항의 응답방법 및 해석 기준은 원척도와 동일 하다. • 출처 신영화(1999). 학대받는 아내의 능력고취를 위한 집단사회사업실천의 효과성.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Fischer, J. and Kevin, C.(1994).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 a source book. 2nd ed. New York : Free Press. Hudson, W. W.(1997). The WALMYR Assessment Scales Scoring Manual. Tallabassee, FL: WALMYR Publishing Company.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41 자아존중감 척도(index of self-esteem: ISE)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거의 그렇지 않다 ③ 가끔 그렇다 ④ 종종 그렇다 ⑤ 자주 그렇다 ⑥ 대부분 그렇다 ⑦ 항상 그렇다 1. 나를 정말로 아는 사람들은 나를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2. 나는 다른 사람들이 나보다는 훨씬 더 잘 지낸다고 느낀다. 3. 나는 매력적인 사람이다. * 4. 내가 다른 사람과 있을 때 그들은 내가 그들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한다고 느낀다. * 5. 나는 사람들이 나와 이야기하기를 정말로 좋아한다고 느낀다. * 6. 나는 내가 매우 능력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 7. 내가 느끼기에 나는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 * 8. 나는 자신감이 좀 더 필요하다고 느낀다. 9. 나는 다른 사람과 있으면 매우 신경이 쓰인다. 10. 나는 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1. 나는 추하다고 느낀다. 12. 다른 사람들이 나보다 인생을 더욱 즐긴다고 느낀다. 13. 나는 다른 사람들을 지루하게 만든다고 느낀다. 14. 나는 친구들이 나를 재미있는 사람이라고 여길 것이다. * 15. 나는 뛰어난 유머 감각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 16. 낯선 사람과 있을 때 나는 나 자신을 매우 의식하는 것 같다. 17.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처지가 좋았다면 나도 그들만큼 해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8. 다른 사람들은 나와 함께 있으면 좋은 시간을 보낸다고 느낀다. * 19. 나는 밖에 나가면 외톨이같이 느낀다. 20. 나는 다른 사람보다 따돌림을 더 많이 받는다고 느낀다. 21. 나는 비교적 괜찮은 사람이라고 여긴다. * 22. 나는 사람들이 진심으로 나를 좋아한다고 느낀다. * 23. 나는 호감을 주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 24. 내가 다른 사람에게 바보처럼 보이게 될까 두렵다. 25. 내 친구들은 나를 매우 높게 평가한다고 생각한다. * * 역문항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42 23.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 • 개발자 Rosenberg • 목적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는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는 오랫동안 광범위한 집단에 사용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척 도는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4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는 성인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원문의 신뢰도 및 타당도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2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 이고 있으며,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상관관계는 .88로 적절한 수준의 안정성을 보였다. 타 당도에서도 적정한 수준의 동시타당도, 예측타당도, 그리고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로젠버그 자아존중감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자아존중감을 평가할 수 있다. 역 문항들(3, 5, 8, 9, 10번 문항)의 경우에는 역으로 채점하게 되며, 총점은 최저 10점에서 최고 40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된다. 본 척도는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자아존중감의 정도가 높다 는 것을 의미한다. • 국내타당화 및 적용 오승환(2001)의 연구에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RSES)를 번역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를 거쳐 사용하였다. 평균 α값이 사전조사 .73, 본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43 조사 .76으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를 가지 고 있다. 제시된 척도는 오승환(2001)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이며, 문항의 응답방법 및 해석 기준은 원척도와 동일하다. • 출처 오승환(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44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 • 범주 ① 매우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그렇다 ④ 매우 그렇다 1. 나는 다른 사람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3.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4. 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가 있다. 5. 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 6. 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7.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한다. 8. 나는 나 자신을 좀 더 존중할 수 있으면 좋겠다. * 9. 나는 가끔 나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 10.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역문항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45 24. 자원봉사만족도 척도 • 개발자 조성우 • 목적 자원봉사만족도 척도는 청소년의 자원봉사 만족도를 평가하고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자원봉사만족도 척도는 청소년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만족감의 정도를 측정 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순수한 의도에 의한 자발적 봉사활동이나 의무적 봉사활동 모두에 사용이 가능하다. 본 척도는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소년지원 요인(3, 5, 6, 7, 11, 17, 18, 20번 문항), 집단활동 요인(0, 12, 13, 16번 문항), 봉사성과 요인(8, 9, 5, 19번 문항), 그리고 학습성장 요인(1, 2, 4, 14번 문항) 등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1에서 5 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자원봉사만족도 척도는 자원봉사를 하는 청소년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자원봉사만족도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862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 을 보이고 있으며 반분신뢰도는 .819로 나타났다. 타당도에서도 적절한 수준의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 해석 자원봉사만족도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최저 20점에서 100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자원봉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총점에 따른 해석은 절대적 해석이 아닌 표집과 비교한 상대적 해석임에 주의해야 한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46 응답자의 총점 해석 ~ 66점 미만 만족도 매우 낮음 66점 이상 ~ 74점 미만 만족도 약간 낮음 74점 이상 ~ 82점 미만 만족도 약간 높음 82점 이상 ~ 100점 만족도 매우 높음 • 출처 조성우(2003). 청소년 자원봉사 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47 자원봉사만족도 척도 • 범주 ①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② 약간 동의하지 않는다 ③ 보통이다 ④ 약간 동의한다 ⑤ 매우 동의한다 1. 나는 봉사 프로그램의 내용에 만족한다. 2. 나는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를 미리 배울 수 있었다. 3. 나는 봉사활동 중 휴식시간에 대해 만족한다. 4. 나는 이번 봉사활동을 통해 이웃에 대한 편견을 버리게 되었다. 5. 나는 봉사활동 증명서의 정확한 발급에 만족한다. 6. 나는 봉사활동 날짜와 시간을 스스로 정할 수 있어서 좋았다. 7. 이번 봉사활동의 양이 나에게 적당했다. 8. 나의 봉사경험을 다른 봉사자들과 나눌 수 있어서 좋았다. 9. 나는 봉사활동을 통해 이웃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서 좋았다. 10. 나는 기관의 선생님과 대화를 나눌 수 있어서 좋았다. 11. 이번 봉사활동의 경력이 고등학교, 대학 진학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어서 좋다. 12. 나는 함께 봉사하는 친구들과 서로 도울 수 있어서 좋았다. 13. 내가 봉사활동을 잘했는지에 대해 선생님이 평가해 주어서 좋았다. 14. 나는 봉사활동을 통해 마음의 변화(자신감, 기쁨, 따뜻함 등)를 얻게 되었다. 15. 나의 봉사노력을 통해 이웃의 상태가 점점 좋아졌다. 16. 나는 자원봉사자 교육에 대해 만족한다. 17. 나는 봉사자의 역할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었다. 18. 봉사활동에 필요한 도구와 장비가 잘 준비되어 있다. 19. 나는 봉사 프로그램의 목적이 달성되어서 만족한다. 20. 나는 기관에서 자원봉사 시간을 정확히 지켜준 점에 대해 만족한다. * 문항에 나오는 ‘이웃’은 봉사의 대상이 되는 아동, 노인, 장애인, 주민 등을 말함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48 25.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다체계 사정도구 (multi-system assessment tools for school social work : MATS) • 개발자 김상곤 • 목적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다체계 사정도구는 학교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학생자신과 학생을 둘 러싸고 있는 생태적 환경인 가족체계, 교사체계, 학급체계, 학교체계, 지역사회 체계를 사정 하고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척도소개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다체계 사정도구는 독립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인 척도이며 7개의 척도 로 구성 되어 있다. 학교사회복지실천의 개입목적이나 개입대상에 따라서 7개 척도를 모두 활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척도만 선택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척도’와 ‘학교생활적응 척도’는 학생 개인을 사정하는 척도이며, ‘가족건강성 척도’는 가족을, ‘바람직 한 교사이미지 척도’는 교사를, ‘학급건강성척도’는 학급을, ‘학교건강성 척도’는 학교를, ‘지 역사회 보호요인 척도’는 지역사회를 사정하는 도구이다. 본 척도는 총 118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1에서 5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다체계 사정도구는 중․고등학생 개인이나 소집단에 적용할 수도 있으 며, 학급이나 학교 전체 학생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다체계 사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각 척도별 신뢰도는 .86~.95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척도’와 ‘학교생활적응 척도’의 α값 은 .86, ‘가족건강성 척도’는 .90, ‘바람직한 교사이미지 척도’는 .95, ‘학급건강성척도’는 .91, ‘학교건강성 척도’와 ‘지역사회 보호요인 척도’는 .93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인다. 타당도에서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49 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 며, ‘학교생활만족도 척도’를 준거척도로 하여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해석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다체계 사정도구에 포함된 척도의 문항 수는 총 118문항으로 최소점수 118점에서 최대점수 590점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측정도구는 자기기입식으로 되어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 “매우 그렇다”는 5점을 주어 점수를 채점한다. 대부분의 문항은 긍정적인 질문으로 되어있으나, ‘학교생활적응 척도’의 20번과 21번 문항은 부정적인 질문이 므로 역점수로 계산한다. 각 영역 마지막 문항은 ‘다체계 만족도 척도’ 문항이다. 따라서 각 척도의 점수를 산출할 때 마지막 문항은 제외하고 산출해야 하며, 각 영역의 마지막에 포함 된 ‘다체계 만족도 척도’ 문항은 별도로 점수를 계산해야 한다.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각각 의 체계 혹은 체계 전반에 대해 학생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 출처 김상곤(2006).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 활용 가능한 다체계 사정도구 개발: 생태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50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나 자신이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2. 나는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한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나 자신이 소중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4. 나는 나의 외모에 만족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5. 나의 외모는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 ① ② ③ ④ ⑤ 6. 나는 매사에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① ② ③ ④ ⑤ 7. 나는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낸다. ① ② ③ ④ ⑤ 8. 나는 선생님들과 관계가 좋다. ① ② ③ ④ ⑤ 9. 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10. 나는 주변 사람을 배려하는 것에 익숙하다. ① ② ③ ④ ⑤ 11. 나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2. 나는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13. 나는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 ① ② ③ ④ ⑤ 14. 나는 성공할 것이라고 믿는다. ① ② ③ ④ ⑤ 15.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만족한다. ① ② ③ ④ ⑤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학교에서 친구들과 관계가 원만하다. ① ② ③ ④ ⑤ 2. 나는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인기가 많은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3. 학교 친구들은 나와 어울리는 것을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⑤ 4. 나는 우리 학교 선생님들을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⑤ 5.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나에게 관심이 많으시다. ① ② ③ ④ ⑤ 6.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나를 자랑스럽게 여기신다. ① ② ③ ④ ⑤ 7. 나는 과제물이나 준비물을 꼬박 꼬박 해간다. ① ② ③ ④ ⑤ 8. 나는 예습 복습을 잘 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9. 나는 학교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① ② ③ ④ ⑤ 학교사회복지실천의 다체계 사정도구 (multi-system assessment tools for school social work : MATS)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Ⅰ. 다음은 자신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입니다. 옳고 그른 것은 없으니 문항을 읽고 해당하는 란에 √ 해 주시기 바랍니다. Ⅱ. 다음은 학교생활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입니다. 옳고 그름이 없으니 아래 문항을 읽고 해당하는 란 에 √해 주시기 바랍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51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우리 가족은 서로에게 사랑을 표현한다. ① ② ③ ④ ⑤ 2. 우리 가족은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3. 우리 가족은 서로 서로 보살펴 준다. ① ② ③ ④ ⑤ 4. 우리 가족은 서로를 존중한다. ① ② ③ ④ ⑤ 5. 우리 가족은 서로를 신뢰한다. ① ② ③ ④ ⑤ 6. 우리 가족은 대화를 많이 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7. 우리 가족은 폭력을 사용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8. 우리 가족은 상대에 대해서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 한다. ① ② ③ ④ ⑤ 9. 우리 가족은 스스럼없이 서로의 고민을 털어 놓을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0. 우리 가족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잘 해결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11. 우리 가족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하기 위 해 함께 노력한다. ① ② ③ ④ ⑤ 12. 우리 가족에겐 친하게 지내는 이웃이나 친척이 있 다. ① ② ③ ④ ⑤ 13. 우리 가족에겐 어려울 때 서로 도울 수 있는 이웃 이나 친척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4. 우리 가족은 어려운 이웃을 위해 봉사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0. 나는 수업시간에 과목 선생님들로부터 칭찬을 많이 받는다. ① ② ③ ④ ⑤ 11. 나는 학업성적이 우수한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12. 우리 학교 규칙은 적절한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13. 나는 학교규칙을 위반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14. 나는 모범적으로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15. 나는 학교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심이 많다. ① ② ③ ④ ⑤ 16. 나는 학교에서 실시하는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다. ① ② ③ ④ ⑤ 17. 나는 학교행사 날을 손꼽아 기다린 적이 많다. ① ② ③ ④ ⑤ 18. 나는 학교는 꼭 다녀야 한다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19. 나는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이 즐겁다. ① ② ③ ④ ⑤ 20. 나는 가능하다면 다른 학교로 전학가고 싶다. * ① ② ③ ④ ⑤ 21. 나는 가능하다면 학교를 그만두고 싶다. * ① ② ③ ④ ⑤ 22. 나는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역문항 Ⅲ. 다음은 자신의 가족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입니다. 옳고 그름이 없으니 아래 문항을 읽고 해당하는 란에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52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교육자로서 뚜렷한 소신을 가 지고 계신 것 같다. ① ② ③ ④ ⑤ 2.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을 가르치는 일을 즐거워 하신다. ① ② ③ ④ ⑤ 3.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헌신적으로 학생들을 교육하 신다. ① ② ③ ④ ⑤ 4.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애정이 많으시다. ① ② ③ ④ ⑤ 5.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훌륭하신 분들이시다. ① ② ③ ④ ⑤ 6.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해주신 다. ① ② ③ ④ ⑤ 7.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칭찬을 많이 해주 신다. ① ② ③ ④ ⑤ 8.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장점을 발견하고 계 발해 주신다. ① ② ③ ④ ⑤ 9.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신다. ① ② ③ ④ ⑤ 10.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대화나 상담을 많이 해주신 다. ① ② ③ ④ ⑤ 11.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여 주신다. ① ② ③ ④ ⑤ 12.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공정하게 대해주신 다. ① ② ③ ④ ⑤ 13.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필요한 경우 학생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부모님들과 함께 노력하신다. ① ② ③ ④ ⑤ 14.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수업준비를 철저히 하신다. ① ② ③ ④ ⑤ 15.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열정적으로 학생을 가르치신 다. ① ② ③ ④ ⑤ 16.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이 알기 쉽게 수업을 진행하신다. ① ② ③ ④ ⑤ 17. 우리 학교 선생님은 학생들을 더욱 더 잘 가르치기 위하여 연구하신다. ① ② ③ ④ ⑤ 18.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의 성적 평가를 공정하 게 하신다. ① ② ③ ④ ⑤ 19. 나는 우리 학교 선생님들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15. 우리 가족은 필요한 경우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문화·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6. 나는 나의 가족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Ⅳ. 다음은 여러분들이 다니는 학교 선생님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입니다. 옳고 그름이 없으니 아래 문 항을 읽고 해당하는 란에 √해 주시기 바랍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53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우리 학교는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한다. ① ② ③ ④ ⑤ 2. 우리 학교는 학생들에 대한 관심이 많다. ① ② ③ ④ ⑤ 3. 우리 학교는 학생들을 사랑으로 가르친다. ① ② ③ ④ ⑤ 4. 우리 학교는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우리 반은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2. 우리 반은 서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대한다. ① ② ③ ④ ⑤ 3. 우리 반은 서로를 존중해 준다. ① ② ③ ④ ⑤ 4. 우리 반은 단합이 잘 된다. ① ② ③ ④ ⑤ 5. 우리 반은 학급활동에 협력을 잘 한다. ① ② ③ ④ ⑤ 6. 우리 반은 학급이나 학교에 행사가 있을 경우 적극 적으로 참여한다. ① ② ③ ④ ⑤ 7. 우리 반에서 의사결정은 민주적으로 이루어진다. ① ② ③ ④ ⑤ 8. 우리 반은 서로의 입장을 잘 이해해 준다. ① ② ③ ④ ⑤ 9. 우리 반은 서로의 고민이나 걱정거리를 스스럼없이 말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0. 우리 반에서는 학급회의에서 학생들의 의견이 자유 롭게 표현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1. 우리 반에서는 학생들의 의견이 학급운영에 반영된 다. ① ② ③ ④ ⑤ 12. 우리 반에서는 문제나 갈등이 있을 때 쉽게 발견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3. 우리 반에서는 문제나 갈등이 발생했을 경우 원만 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14. 우리 반에서는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면 담임선생님 과 학생들이 함께 힘을 모아 해결한다. ① ② ③ ④ ⑤ 15. 우리 반은 학급 분위기가 밝다. ① ② ③ ④ ⑤ 16. 우리 반은 교실 환경이 깨끗하다. ① ② ③ ④ ⑤ 17. 우리 반에는 폭력이나 따돌림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18. 우리 반 친구들은 우리 반에 소속된 것을 자랑스럽 게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19. 나는 우리 반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Ⅴ. 다음은 여러분들의 학급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입니다. 옳고 그름이 없으니 아래 문항을 읽고 해당 하는 란에 √해 주시기 바랍니다. Ⅵ. 다음은 여러분들이 다니는 학교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입니다. 옳고 그름이 없으니 아래 문항을 읽 고 해당하는 란에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54 5. 우리 학교에서는 서로를 돌보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6. 우리 학교 친구들은 우리 학교에 다니는 것을 자랑 스럽게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7. 우리 학교는 안전하다. ① ② ③ ④ ⑤ 8. 우리 학교에는 학교폭력이나 왕따가 없다. ① ② ③ ④ ⑤ 9. 우리 학교에는 특별히 심각한 문제가 없다. ① ② ③ ④ ⑤ 10. 우리 학교에는 학생들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창 구가 마련되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1. 우리 학교에는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이 도움을 요 청할 수 있는 곳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2. 우리 학교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공간을 만들어준다. ① ② ③ ④ ⑤ 13. 우리 학교는 학생들의 복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14. 우리 학교는 지역사회와 함께 학생들을 위한 프로 그램을 운영한다. ① ② ③ ④ ⑤ 15. 우리 학교는 학교시설을 지역사회에 개방한다. ① ② ③ ④ ⑤ 16. 우리 학교는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 정과 협력한다. ① ② ③ ④ ⑤ 17. 우리 학교는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 역사회와 협력한다. ① ② ③ ④ ⑤ 18. 나는 우리 학교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 어른들은 청소년들의 목소리 에 귀를 기울이신다. ① ② ③ ④ ⑤ 2.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 어른들은 청소년들에게 관심 이 많다. ① ② ③ ④ ⑤ 3.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는 청소년들을 존중하고 인권 을 보호해 준다. ① ② ③ ④ ⑤ 4.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 어른들은 어려움에 처한 청 소년을 발견하면 기꺼이 도와준다. ① ② ③ ④ ⑤ 5.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 어른들은 청소년들을 믿어주 신다. ① ② ③ ④ ⑤ 6.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서는 저녁에도 거리를 안전 하게 다닐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7.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는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환 경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Ⅶ. 다음은 여러분들의 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입니다. 옳고 그름이 없 으니 아래 문항을 읽고 해당하는 란에 √해 주시기 바랍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55 8.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는 위험한 곳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9.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는 청소년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곳이다. ① ② ③ ④ ⑤ 10.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서는 청소년들의 폭력이나 폭행과 같은 사건이 별로 발생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11.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는 청소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문화시설이 충분하다. ① ② ③ ④ ⑤ 12.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는 청소년들을 위한 다양 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13.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는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 들이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곳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4.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 께 하는 활동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5. 나는 우리 학교가 있는 동네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56 26.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 • 개발자 박현선 • 목적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는 기존 연구들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이며, 학교생활에 대 한 흥미(1~7번 문항), 학업 및 성적에 대한 태도(8~12번 문항), 그리고 학교 규범준수(13~22 번 문항) 등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는 총 2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에서 4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다. • 대상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는 청소년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사전조사 .80, 본조사 .81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 다. • 해석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구하고, 역문항들(1, 5, 9, 16, 17, 18, 19, 20, 21, 22번 문항)의 경우에는 역으로 채점한다. 총점은 최저 22점에서 최고 88 점까지의 범위를 갖게 되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학교적응유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 출처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57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거의 그렇지 않다 ③ 가끔 그렇다 ④ 매우 그렇다 1. 학교를 가는 것이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든다. 2. 학교 생활이 즐겁다. 3. 내가 배우고 있는 대부분의 과목을 좋아한다. 4. 담임선생님이 좋다. 5. 학교를 그만두고 싶어질 때가 있다. 6. 나는 우리 학교 선생님을 대부분 존경한다. 7. 수업시간에 나는 도움이 되는 것을 배운다고 생각한다. 8. 내게 있어서 학교 성적은 참으로 중요하다. 9. 나는 공부에는 취미가 없다. 10. 나는 열심히 공부해도 성적이 잘 오르지 않는 편이다. 11. 나는 수업 시 학업태도가 좋은 편이다. 12. 나의 학교성적은 좋은 편이다. 13. 숙제는 내 스스로 힘으로 꼬박꼬박 해가는 편이다. 14. 선생님의 지시를 잘 따른다. 15. 학교의 규범을 준수한다. 16. 다른 학생들과 싸우거나 다툰 적이 있다. 17. 시험 볼 때 커닝을 한 적이 있다. 18. 학교에 지각을 한다. 19. 학교 생활에서 근신, 정학 등의 처벌을 받은 적이 있다. 20. 무단 결석을 한다. 21. 나는 학교 시설물을 손상시키거나 망가뜨린 적이 있다. 22. 수업이나 자율학습 시간에 무단이탈한 적이 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58 27. 한국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 (korean version of the 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CSI-K) • 개발자 김용석ㆍ이은영ㆍ고경은ㆍ민은희 • 목적 한국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을 평가하고 그 효과성 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한국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는 McMurtry and Hudson(2000)이 개발한 사회 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CSI)를 국내 실정에 맞게 고안 한 것이다. 본 척도는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고, 문제해결 및 도움여부, 재이용여부와 추천 여부 등을 묻는 질문 외에도 사회복지서비스 제 공자와의 관계와 관련된 문항들도 포함하고 있다. 25문항의 원척도에서 문항분석을 통해 부 적절한 5문항을 제외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에서 7까지의 리커트 척도로 평가 하고,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에는 응답하지 않아도 된다.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이용자의 만 족(1, 2, 3, 4, 5, 6, 7, 8, 9, 10, 12, 13번 문항)과 서비스 효과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11, 14, 15, 16, 17, 18, 19번 문항)이라는 2개의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 대상 한국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는 사회복지서비스 혹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평균 α값이 .955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타당도에서도 구성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59 • 해석 한국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는 최저 0점부터 최고 100점 사이의 점수가 산출 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총점을 내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총점(S)= (Σ[Y]-N)(100) (N)(6) Σ[Y]: 응답한 문항의 총점, N: 응답한 문항의 수 예를 들어, 응답한 문항이 총 20개이고 모두 ‘매우 그렇다(7점)’에 응답하였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총점(S)= ([7+7+7+7+7+7+7+7+7+7+7+7+7+7+7+7+7+7+7+7]-20)(10 ) (20)(6) =10 또 예를 들어, 응답한 총 문항이 15개이고, 모두 ‘조금 그렇다(5점)’에 응답하였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총점(S)= ([5+5+5+5+5+5+5+5+5+5+5+5+5+5+5]-15)(10 ) (15)(6) =6 .67 • 출처 김용석ㆍ이은영ㆍ고경은ㆍ민은희(2007). 한국어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Client Satisfaction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복지학. 제59권. 제4호. 83-109. McMurtry, S. L. and Hudson, W. W.(2000). The 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Results of an Initial Validation Study. Research on Social Work, 10(5), 633-644.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60 한국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 (korean version of the 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CSI-K) •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많이 그렇지 않다 ③ 약간 그렇지 않다 ④ 보통이다 ⑤ 조금 그렇다 ⑥ 대체로 그렇다 ⑦ 매우 그렇다 1. 이곳에서 받은 서비스는 나에게 큰 도움이 된다. 2. 이곳의 직원은 진심으로 나를 도와주는 것 같다. 3. 만일 다시 도움이 필요하면 이곳을 이용할 것이다. 4. 이곳의 직원은 나를 업무적으로 대하지 않고 인격적으로 대해준다. 5. 이곳에서 나는 나의 문제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많이 배웠다. 6. 내가 이곳에서 도움 받은 것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도 추천하고 싶다. 7. 이곳의 직원은 자신들의 일을 성의껏 한다. 8. 나는 이곳에서 진정으로 내가 필요로 하는 도움을 받았다. 9. 이곳의 직원은 나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준다. 10. 내가 처음 이곳에 왔을 때보다 지금이 훨씬 좋아졌다고 생각한다. 11. 이곳에 오기 전까지는 나를 도와준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생각했다. 12. 여기서 받은 도움은 내가 지불한 이용료만큼 가치가 있다. 13. 이곳의 직원은 자신의 업무보다 내가 요구하는 것을 먼저 해준다. 14. 이곳에서 내가 받은 가장 큰 도움은 나 자신을 돕는 방법을 배운 것이다. 15. 내가 아는 사람들은 이곳에서 내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말한다. 16. 이곳의 직원은 내가 다른 곳에서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17. 이곳의 직원은 내 심정을 이해하는 것 같다. 18. 나는 이곳의 직원에게 속마음을 털어 놓을 수 있을 것 같다. 19. 내가 여기서 받은 도움은 기대 이상이었다. 20. 나는 이곳을 다시 이용하고 싶다.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응답하지 않아도 된다.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61 28.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KGHQ-20) • 개발자 신선인 • 목적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는 일반 클라이언트의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하여 문제성이 높은 대상자를 가려낸 후 그들에게 적절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척도소개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general health questionnaire(GHQ)의 한국판으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것이다. 본 척도는 비(非)정신의료전 문가가 사용 가능한 정신건강 척도이며, 현재 정신질환의 위험군에 속한 대상자들을 일차적 으로 선별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GHO의 원문은 6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30문항, 28문항, 20문항 등으로 간소화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으며 본 척도의 경우에는 30문항 과 20문항 모두 사용가능하다. • 대상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는 정신과병원 입원환자 혹은 외래환자들에게 사용하는 것이 적 절하다. •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α값이 .89~.91로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관 성을 보이고 있으며, 30문항에 대한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는 .85, 20문항에 대한 1주 간격 의 검사-재검사는 .87의 상관관계를 보여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를 갖춘 것으로 볼 수 있다. 타당도에서도 동시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62 • 해석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의 점수처리는 GHQ scoring의 전통적인 방법인 0-0-1-1을 사용한 다. 즉,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는 0점 처리하고, ‘아니다’와 ‘매우 아니다’는 1점으로 처리한 다. 30문항 중 15문항(2, 5, 6, 9, 12, 13, 14, 23, 24, 26, 27, 28, 29, 30번 문항)은 나머지 문항 과 역방향을 이루고 있으므로 점수처리 과정에서 역점수 처리를 해야 한다. 20문항 척도와 30문항 척도의 최저점수는 0점, 최고점수는 각각 20점과 3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정신건 강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만성정신질환자집단의 경우에는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부정적인 정신심리 상태를 최대한으로 평가하기 위해 chronic GHQ scoring 방법을 사 용하여 긍정적인 문항에는 0-0-1-1을 배점하고, 부정적인 문항에는 0-1-1-1을 배점한다. 정신 질환 발병의 위험집단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점인 분할점수는 30문항 척도는 16점, 20문항 척도는 13점이다. • 출처 신선인(2001).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 Ⅰ: 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46권. 210-235. SECTION 2 평가기준, 지표, 척도 모음 163 도구 유형 문항 번호 최근 2~3주일 전부터 현재까지의 상태를 그 이전과 비교하여 볼 때, 당신은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아니다 ④ 매우 아니다 한 국 판 일 반 정 신 건 강 척 도 20 문 항 1 하고 있는 일에 잘 집중할 수 있었습니까? 2 걱정 때문에 잠을 잘 못 잔 적이 있습니까? 3 자신이 여러 면에서 쓸모 있는 역할을 잘 하고 있다고 느꼈습니까? 4 매사에 올바른 결정을 잘 내릴 수 있었습니까? 5 계속해서 긴장감을 느낀 적이 자주 있었습니까? 6 어려움을 극복할 수 없다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7 일상적인 활동을 즐겁게 할 수 있었습니까? 8 문제가 생기면 그것을 피하지 않고 맞서서 해결 하려고 하였습니까? 9 우울감과 불행감을 느낀 적이 많습니까? 10 자신감이 없어졌다고 느꼈습니까? 11 그 전과 같은 정도로 외출을 하였습니까? 12 인생이 절망적이라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13 신경이 쓰여서 힘들게 느껴진 일이 많았습니 까? 14 밤에 잠을 잘 못 이루거나 많이 설치곤 합니까? 15 어떤 일을 할 때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이 하는 만큼 그 일을 잘 처리할 수 있었습니까? 16 당신과 가까운 사람들에게 따뜻함과 애정을 느낄 수 있었습니까? 17 자신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느꼈습니까?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KGHQ-20) • 범주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아니다 ④ 매우 아니다 아래는 당신의 육체적, 정신적 상태를 포함한 일반적인 정신건강에 관한 질문입니다. 당신이 최근 몇 주 동안 느낀 상태를 그 이전과 비교하여 설명한 것 중에서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응답항목 하나 를 골라서 그 항목에 표시(∨)해 주십시오. 응답내용은 현재를 포함하여 최근 2~3주 동안 당신이 주 로 느낀 바에 관한 것이어야 하며, 그 이전 과거의 상태에 관한 것이 아님을 명심하여 주시기 바랍니 다.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64 18 부지런히 생활하며 일에 전념할 수 있었습니까? 19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는 것이 어렵지 않게 느껴 졌습니까? 20 전반적으로 자신이 일을 잘 하고 있다고 느꼈습 니까? 30 문 항 의 추 가 문 항 21 대체적으로 행복하다고 느꼈습니까? 22 사람들과의 대화시간을 많이 가진 편입니까? 23 인생이 항상 고생스러운 것으로 생각되었습니까? 24 자신이 가치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자주 하였 습니까? 25 자신의 일을 처리해 온 방법에 만족하십니까? 26 모든 일이 한꺼번에 당신을 힘들게 한다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27 언제나 초조감이나 긴장감을 느끼는 편이었습니 까? 28 때때로 신경이 쇠약해져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던 적이 있습니까? 29 별 뚜렷한 이유도 없이 공포와 두려움을 느낀 적 이 많습니까? 30 인생이 살 가치가 없게 느껴진 적이 있습니까? 참고문헌 165 참고문헌 권영옥ㆍ이정덕(1997).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척도(CPIC)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제18권. 제1호. 65-80. 김상곤(2006).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 활용 가능한 다체계 사정도구 개발: 생태학적 관점을 기 반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용석ㆍ이은영ㆍ고경은ㆍ민은희(2007). 한국어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Client Satisfaction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 지학. 제59권. 제4호. 83-109. 김인숙(1994). 빈곤여성의 사회적 환경요인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김지은(1998). 청소년의 재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선인(2001). 한국판 일반정신건강 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 Ⅰ: 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46권. 210-235. 신영화(1999). 학대받는 아내의 능력고취를 위한 집단사회사업실천의 효과성.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양옥경(1996). 지역사회 정신건강. 나남출판. 양옥경(1994). 삶의 만족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제24권. 157-198. 양옥경(2001). 가족관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 제8호. 119-147. 양옥경ㆍ이민영(2003). 가족관계척도 활용을 위한 타당도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4권. 5-33. 엄명용․조성우. 2005. 사회복지실천과 척도개발. 학지사 오승환(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윤명숙(1997). 알코올 중독 남편의 단주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이지수(2002). 장애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지지적 학교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석균(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선욱(2002). 시설보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166 위논문. 정인과ㆍ곽동일ㆍ조숙행ㆍ이현수(1997), 노인우울척도(GDS)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 학. 제37권. 제2호. 340-351. 조성우(2003). 청소년 자원봉사 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성희(1999). 실직자 가족의 해체가능성에 관한 연구. 실직 가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조학래(1996).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최보가ㆍ전귀연(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Ⅰ).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 제2호. 41-54. 최형성(200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미현ㆍ유안진(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제33권. 제4 호. 49-64. Armsden, G. C. and Greenberg, M. T.(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Carver, C. S., Weintraub, J. K., and Scheier, M. F.(1989). Assessing Coping Strati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6, 267-283. Conger, R. D., Conger, K. J., Elder, G. H., Lorenz, F. O., Simons, R. L., and Whitebeck, L. B.(1992).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Influences on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Child Development, 63, 526-541.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Edwards, J. N., Johnson, D. R., and Booth, A.(1987). Coming Apart: A Prognostic Instrument of Marital Breakup. Family Relation, 36, 168-170. Fischer, J. and Kevin, C.(1994).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 A Source Book. 2nd ed. New York : Free Press. Grych J. H. and Fincham, F. D. (1992). Assessing Marital Conflict from the Child's Perspective: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hild Development, 63, 558-572. Hermandez, L. P.(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참고문헌 167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Hudson, W. W.(1997). The WALMYR Assessment Scales Scoring Manual. Tallabassee, FL: WALMYR Publishing Company. Martin, L. L. & Kettner, Peter M. 1996.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Human Service Programs. Sage. McCubbin, H. I. and Thompson, A. I.(eds.)(1991).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McMurtry, S. L. and Hudson, W. W.(2000). The 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Results of an Initial Validation Study. Research on Social Work, 10(5), 633-644. Poister, T. H. "Performance monitoring." pp. 98-125. in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edited by Wholey, J. S., Hatry, H. P., & Newcomer, K. E. Jossey-bass. Pope, A. W., McChale, S. M., and Craighead, W. E.(1988). Self-Esteem Enhance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Pergamon Press.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Sherer, M., Maddox, J. E., Mercam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and Rogers, R. W.(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Simons, R. L. and Chao, W.(1996). Conduct Problems. In Simons & Associates, Understanding Difference Between Divorced and Intact Families. SAGE, 125-144. Simons, R. L., Lorenz, F. O., and Conger, R. D.(1994). Marital and Spouse Support as Mediator and Moderator of the Impact of Economic Strain upon Paren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9, 368-381. Voeltz, L. M.(1980).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Peer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4(5), 455-464. Voeltz, L. M.(1982). Effects of Structured Interactions with Severly Handicapped Peers on Children's Attitud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6(4), 380-390. Winefield, H. R., Winefield, A. H., and Tiggemann, M.(1992). Social Support a H.,sychological Well-Being in Young Adults: The Multi-Dimensiional Support Scale. Journal of Personalial Assessment, 58, 198-210.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and Leirer, V. O.(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 37-49. 알기 쉽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조사연구 2009-01

반응형